행정행위의 하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13 09:56
본문
Download : 행정행위의 하자.hwp
3. 취소할 수 있는 행정행위
취소할 수 있는 행정행위는 행정행위의 성립에 하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권한 있는 기관에 의하여 취소되기까지는 그 효력을 지속하는 행정행위를 말하며, 취소되는 경우에는 행정행위 발급시로 소급하여 그 효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② 협의의 부존재
행정기관 내부의사결정에 불과한 것, 행정행위가 취소?철회?실효 등으로 소멸한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Ⅱ. 구별의 실익
1. 효력
효력이 무효인 경우 처음부터 효력발생을 안하는 반면 취소의 경우 취소될 때 까지는 일응 유효하다.
(3) 무효인 행정행위와의 구별
① 부정설
법적 효력 면에서 양자는 차이가 없고, 행정쟁송상 무효등확인소송(심판)이 무효와 부존재인 경우 모두 인정하므로 양자는 구별실익이 없다는 견해이다.
2. 무효인 행정행위
무효인 행정행위는 행정행위로서의 외형은 갖추고 있으나, 그 하자가 중대하고 명백하여 처음부터 행정행위로서의 효력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행정행위를 말한다.
2. 공정력
공정력은 취소할 수 있는 행정행위에만 인정된다
3. 행정쟁송의 형태
취소에는 취소심판, 취소소송이 무효에는 무효확인심판, 무효확인소송이 적용된다
4. 행정소송의 제기요건
행정심판 …(省略)
행정행위의,하자,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행정행위의 하자.hwp( 60 )
행정행위의 하자
행정행위의 하자 , 행정행위의 하자법학행정레포트 , 행정행위의 하자
다.
② 긍정설(다수설)
정의(定義) 상 부존재는 행위의 외형자체가 없는 점에서 무효와 구별되고 무효확인소송은 엄밀히는 무효확인소송과 부존재확인소송으로 나눌 수 있으므로 양자의 구별실익이 있다는 견해이다.
(2) 사유
① 비행정행위
명백한 사인의 행위, 행정권의 발동으로 볼 수 없는 행위인 권유, 알선 등이 이에 해당한다.
4. 행정행위의 부존재
(1) 정의(定義)
행정행위의 부존재란 행정행위가 성립요건의 중요한 요소를 결함으로써 행정행위라고 볼수 있는 외형상의 존재 자체가 없는 경우를 말한다.



행정행위의 하자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하자(흠)에 대한 구별
Ⅰ. 들어가며
1. 행정행위의 하자
행정행위의 하자란 행정행위가 그 성립요건?효력요건을 갖추지 못한 경우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