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적 교회론 (Practical Ecclesiology)이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30 09:01
본문
Download : 실천적 교회론 (Practical Ecclesiology)이란.hwp
실천적교회론 , 실천적 교회론 (Practical Ecclesiology)이란인문사회레포트 ,
실천적 교회론 (Practical Ecclesiology)이란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구약에 나타난 공동체와 실천
2. 왕정정치의 출현과 제도적-교권주의의 등장
3. 예언운동을 통한 메타노이아(Metanoia, 회개)의 호소
Ⅲ. 結論(결론)
오늘의 교회가 범하고 있는 두 번째 오류는 교회의 프락시스를 교회의 존재양식 혹은 공동체적 표현으로부터 여러 종류의 기능(function)으로 전락시키는 데 있다아 오스카 출만(Oscar Cullmann)은 처음 교회가 시행했던 다양한 실천을 떡을 떼는 일(breaking of bread), 성경을 읽는 일(reading), 말씀선포(proclamation), 고백(confession), 기도(prayer), 하나님 찬양(doxology), 축복(blessing), 예언(prophecy), 그리고 방언(speaking with tongues)으로 설명(說明)하고 있다아 그러나 중요한 것은 교회의 이 같은 다양한 실천들이 ‘기능‘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를 세우는 일‘의 존재양식이요, 존재의 표현이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교회가 교권화되고 성직 중심으로 바뀌면서 교회의 실천은 ‘많은 기능‘들로 변질되기 처음 하였다. 기능들이 성직자의 독점물이 되면서 교회의 실천은 하나님의 백성공동체를 배제하기에 이르렀다. 성경을 읽는 일도, 말씀선포도, 떡을 떼는 일도 축복도 성직자의 전유물처럼 되면서 이것들은 더 이상 전 회중의 존재양식이 아니라 회중을 위한 성직자들의 기능과 종교적 행위로 전락한 것이다. 그 처음은 ‘출애굽-시내산 언약-가나안 정복-세겜언약‘의 사건들 속에서 형성된 이스라엘 민족공동체의 출현일 것이다.
다.
처음 단원은 …(투비컨티뉴드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실천적 교회론 (Practical Ecclesiology)이란.hwp( 22 )
순서
실천적 교회론 (Practical Ecclesiology)에 대한 글입니다. 공동체 없는 교회실천이 된 것이다.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실천적교회론
%EC%9D%B4%EB%9E%80_hwp_01.gif)
%EC%9D%B4%EB%9E%80_hwp_02.gif)
%EC%9D%B4%EB%9E%80_hwp_03.gif)
%EC%9D%B4%EB%9E%80_hwp_04.gif)
%EC%9D%B4%EB%9E%80_hwp_05.gif)
%EC%9D%B4%EB%9E%80_hwp_06.gif)
실천적 교회론 (Practical Ecclesiology)에 대한 글입니다.
Ⅱ. 본론
1. 구약에 나타난 공동체와 실천
구약성서를 뚫고 진행된 하나님의 구원의 history(역사) 는 크게 세 단원으로 나뉜다.
초대교회의 실천이 하나님 백성 공동체의 표현양식이었다는 의미는 하나님의 백성이 참여하고 또 표출하는 전 회중의 표현양식이었다는 것이며, 이는 공동체가 반드시 그 중심에 자리하고 있었음을 뜻한다. 세 번째 단원은 예언운동을 통한 메타노니아(metanoia)의 호소이며 테마였다. 두 번째 단원은 왕정정치의 출현과 함께 나타난 제도적-교권주의의 등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