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탈북자 지원방법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20 08:24
본문
Download : 재외탈북자 지원방안에 대한 고찰.hwp
따라서 러시아와 달리 국경을 접한 지역이 넓고, 왕래가 빈번하며 중국(China)내 조선족들로 인해 언어소통이 가능한 중국(China), 특히 조선족이 집단 거주하는 연변자치주 지역에 밀집되어 있따 최근에는 흑룡강성, 요령성, 몽골 지역 등 국경과 원거리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베이징과 대도시에까지 진출한 탈북자들중 일부는 한국대사관에 망명 또는 신변보호조치를요구하 였다. 이처럼 한국재외공관에 망명을 요청한 수는 러시아와 제3국을 포함하여 전체 재외탈북자의 극히 일부분인 500명 정도로 政府(정부)는 추산하고 있따
.
연길, 용정, 도문 등 도시 지역은 은신을 위해서는 농촌지역보다 어려움이 있으나, 막노동과 유흥업소 등에서 일자리를 구할 수 있어 쉽게 탈북자를 찾아볼 수 있따 그러므로 농촌지역과 도심 지역간에 탈북자 분포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탈북자들이 북한의 식량사정이 호전되지 않는 사실 때문에 귀국을 미루고 있기…(drop)
재외탈북자지원방법에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또한 백두산 주변 지역인 장백현 일대 고지대 산 속에서 야영생활을 하는 탈북자도 상당수에 이르고 있따 장백현 지역은 조선족의 인구비율이 높고 산악지형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탈북초기 은신처로서는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Download : 재외탈북자 지원방안에 대한 고찰.hwp( 64 )
재외탈북자 지원방법에 대한 고찰
레포트/경영경제






,경영경제,레포트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순서
Ⅰ. 머리말
Ⅱ. 재외탈북자 동향
1. 재외탈북자 규모와 분포
2. 출신배경
3. 탈북목적 및 과정
4. 거주實態
5. 생활實態
6. 탈북자들에 대한 중국(China) 당국의 처우
7. 북한 송환實態와 송환시 처우
Ⅲ. 재외탈북자 지원체계
1. 현재의 지원체계와 problem(문제점)
2. 지원체계 구축의 必要性
3. 관련 국가들의 입장
4. 지원주체의 분류유형
5. 재외탈북자 지원센터 설립
Ⅳ. 지원방법과 지원내용
1. 지원방법
2. 지원내용
Ⅴ. 맺음말
Ⅱ. 재외탈북자 동향
1. 재외탈북자 규모와 분포
재외탈북자는 중국(China), 러시아(CIS국가 지역), 그리고 동남아 지역인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 태국 등지에 분산되어 있따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은 중국(China)과 러시아에 체류하고 있따 동남아 지역은 한국 입국을 위한 경유지로써 이용될 뿐 장기 체류자는 많지 않다.
이러한 사실들을 종합해 볼 때 중국(China)내 전체 탈북자 수는 약 10만명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더구나 1997년 이전까지는 전체 규모를 3만명선으로 추정하였으나, 1998년 이후 그 수가 급증하였다.그럼 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재외탈북자지원방안에 , 재외탈북자 지원방안에 대한 고찰경영경제레포트 ,
그럼 reference(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설명
다. 장기체류자는 대부분 러시아와 중국(China)에 분산되어 있으나, 러시아는 북한과의 국경선이 협소하고 왕래빈도가 많지 않으며, 언어소통의 곤란 등으로 벌목공 출신들을 제외하면 많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