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인, 당신은 누구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4 03:04
본문
Download : 대학인, 당신은 누구인가.hwp
물론 자율성의 원리는 근대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근대는 인간의 이성에 대한 신뢰에서 출발한다. 이것이 이른바 학문의 자율성 도덕의 자율성 예술의 자율성의 취지인 것이다. 인간의 이성을 합리적으로 갈고 닦으면 역사(歷史) 진보의 확실한 엔진이 될 수 있다는 신념, 이것이 근대의 정신이다. 과학의 영역은 과학자에게, 행위의 영역은 윤리학자에게, 예술의 영역은 예술가에게 맡기고 그들의 견해 을 최대한 따르면 되는 것이었다.
산업…(생략(省略))
설명
다. 이러한 대학의 위상은 존중되었고 그 존재의 의미를 스스로 과시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그 비상은 추락을 역설적이지만 이미 잉태하고 있었다. 이러한 취지를 계획에 옮겨 실천해낸 곳이 바로 근대의 대학이었던 것이다. 특별한 가치를 잃어버리면서 제대로 대접받기는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고, 인류와 겨레의 이념, 그 가치를 창출하고 진리와 자유를 수호한다는 그 당당한 존재의미는 한낱 허사일 뿐이고, 대학은 그저 학원일 터이다.대학인, 당신은 누구인가대학인은누구인가 , 대학인, 당신은 누구인가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대학인, 당신은 누구인가
Download : 대학인, 당신은 누구인가.hwp( 42 )





대학인, 당신은 누구인가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대학인은누구인가
아 옛날이여
대학은 진리의 전당인가
이제 대학은 더 이상 상아탑이 아닌가. 진리가 수호되기 위해서는 외부의 힘, 특히 정치와 종교로부터 자유로워야 하고, 심지어 국가와 사회로부터도 간섭되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은 이미 고전이 되었는가. 대학의 고고함은 사라지고 국가와 사회의 시녀로 전락되어 버린 지 오래된 것은 아닌가. 그곳은 정녕 쓸쓸히 쇠잔해 가는가. 해지는 서산을 훠이훠이 걸어가는 나그네의 뒷모습처럼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아 옛날이여’ 인가.
오늘의 대학은 분명 대중에 개방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학 진학률은 약 80%에 육박하고 있다 대학교육은 벌써 보편화되었고, 그것의 희소가치는 퇴색되었다. 대학이 그 중심에 있었고 추동력의 核心(핵심)이었다.
정보화는 사회를 바꾸어 놓았고 역사(歷史)와 culture의 전환을 가져오면서 모든 것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있다 산업화 사회의 패러다임은 그 효력을 상당히 상실하고 있다 산업화 사회에 있어서 그 이니셔티브를 쥐고 있던 세력은 전문가 내지는 엘리트 그룹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