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 공법, 사법 및 사회법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1-23 18:54
본문
Download : [법학개론]공법사법사회법.hwp
구병삭, 신법학원론(서울 : 박영사, 1997), pp. 67~72.
[법학] 공법, 사법 및 사회법 조사
2. 공법과 사법의 구별 기준
법학개론 시간 숙제로 공법, 사법 및 사회법에 대하여 조사한 것입니다.
![[법학개론]공법사법사회법-8657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04/%5B%EB%B2%95%ED%95%99%EA%B0%9C%EB%A1%A0%5D%EA%B3%B5%EB%B2%95%EC%82%AC%EB%B2%95%EC%82%AC%ED%9A%8C%EB%B2%95-8657_01_.gif)
![[법학개론]공법사법사회법-8657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04/%5B%EB%B2%95%ED%95%99%EA%B0%9C%EB%A1%A0%5D%EA%B3%B5%EB%B2%95%EC%82%AC%EB%B2%95%EC%82%AC%ED%9A%8C%EB%B2%95-8657_02_.gif)
![[법학개론]공법사법사회법-8657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04/%5B%EB%B2%95%ED%95%99%EA%B0%9C%EB%A1%A0%5D%EA%B3%B5%EB%B2%95%EC%82%AC%EB%B2%95%EC%82%AC%ED%9A%8C%EB%B2%95-8657_03_.gif)
![[법학개론]공법사법사회법-8657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04/%5B%EB%B2%95%ED%95%99%EA%B0%9C%EB%A1%A0%5D%EA%B3%B5%EB%B2%95%EC%82%AC%EB%B2%95%EC%82%AC%ED%9A%8C%EB%B2%95-8657_04_.gif)
![[법학개론]공법사법사회법-8657_05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04/%5B%EB%B2%95%ED%95%99%EA%B0%9C%EB%A1%A0%5D%EA%B3%B5%EB%B2%95%EC%82%AC%EB%B2%95%EC%82%AC%ED%9A%8C%EB%B2%95-8657_05_.gif)
1) 고대 시대
5. 공법과 사법을 구별하는 실익
2) 17 - 18세기
공·사법의 구별은 강력한 중앙집권적 국가가 존재하였던 로마법아래에서 국가 권력과 직접 관계되는 것은 정치적인 것으로 생각하여 공법관계를 법의 영역에서 제외하고, 개인관계만을 법률관계로 규정하려고 하는 의도를 가지고 인정되었다.
<공법과 사법 및 사회법>
7. 느낀 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다. 로마법이 공법과 사법을 구별하고 있는 것을 보면 로마는 이미 市民사회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대하여 게르만은 市民사회가 아니었기 때문에 게르만법에는 공법과 사법의 구별이 없었으며, 영미법에는 행정재판제도가 따로 없었기 때문에 공법·사법의 구별이 인정되고 있지 않은 것 같다.
Download : [법학개론]공법사법사회법.hwp( 12 )
8. 출처
1. 공법 및 사법의 발생과정
4. 공 · 사법의 구별의 상대성
법을 공법과 사법으로 분류하는 것은 소송기술상의 필요에서 로마법에서부터 있었던 것으로서 매우 오래된 것이다.법학, 공법, 사법, 사회법, 비교, 법학개론
순서
6. 사법의 공법화현상과 사회법의 생성
1. 공법 및 사법의 발생과정
3. 사회법
법학개론 시간 숙제로 공법, 사법 및 사회법에 대해서 조사한 것입니다.
17·18세기에 형성된 근대 자연법론은 국가권력을 제한하고 개인의 기본적 권리를 보장하려는 주장에 따라 공법관계도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서 로마·게르만법은 영미법상의 보통법과는 달리 개인관계를 규정하는 사법관계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