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9 04:21
본문
Download : 해인사에 대하여.hwp
해인사는 화엄십찰의 하나다.
해인사의 文化(culture) 재
해인사는 文化(culture) 재로 국보 제 32호 팔만대장경판과 국보 제52호 팔만대
장경판전 건물,국보 제206호고려각판의 국보3점과 보물 제 128호 반야
사원경왕사비,보물 제222호 가야산 중봉 마애석불,고려각판 등 보물3
점과 중요 민속자료(data) 제3호인 광해군과 왕비의 옷 등 70여점,그리고 유
물로 상탑향료,옥화,회랑조사 자조상,세조의 영정,숙종의 어필 병, 김
홍도의 화조, 체병…(투비컨티뉴드 )
제자인 利貞 두 스님이 가야산 토굴에서 정진중 ...
레포트/자연과학
해인사에 대하여
해인사는 신라 애장왕 3년(서기802) 의장대사의 법손인 順應과 그의
,자연과학,레포트
해인사의 창건





다.
순서
Download : 해인사에 대하여.hwp( 69 )
설명
해인사의 창건 해인사는 신라 애장왕 3년(서기802) 의장대사의 법손인 順應과 그의제자인 利貞 두 스님이 가야산 토굴에서 정진중 ... , 해인사에 대하여자연과학레포트 ,
해인사의 창건
해인사는 신라 애장왕 3년(서기802) 의장대사의 법손인 順應과 그의
제자인 利貞 두 스님이 가야산 토굴에서 정진중 왕후의 불치병을 법력
으로 치료해 준 인연으로 국왕이 은혜에 보답하는 뜻으로 창건하였다
고 한다.
해인사가 번창하게 된것은 강화에 있던 팔만대장경을 조선초에 해인사
에 봉안하면서 부터다.
해인사 절 이름의 `해인`은 대방광불 화엄경중의 `해인삼매`(海印三昧
)에서 따왔다고 한다. 지금은 삼보사찰(三寶寺刹)중 법보종찰(
法寶宗刹)로서 대한불교 조계종 본사 제12교구이며,해인총림(海印叢林
)종합수도장이다. 해인사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비롯한 여러 고서적에도 기
록되어진다. 대부분 대장경이 고려때부터 있었다고 알기 쉽
지만 사실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