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경제] 회계 - 감가상각에 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5 00:31
본문
Download : [경영,경제] 회계 - 감가상각에 관해서.hwp
[경영,경제] 회계 - 감가상각에 관해서
[경영,경제] 회계 - 감가상각에 관해서
[경영,경제] 회계 - 감가상각에 관해서 , [경영,경제] 회계 - 감가상각에 관해서경영경제레포트 , 경영 경제 회계 감가상각 관해서
레포트/경영경제
![[경영,경제]%20회계%20-%20감가상각에%20관해서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2%BD%EC%98%81,%EA%B2%BD%EC%A0%9C%5D%20%ED%9A%8C%EA%B3%84%20-%20%EA%B0%90%EA%B0%80%EC%83%81%EA%B0%81%EC%97%90%20%EA%B4%80%ED%95%B4%EC%84%9C_hwp_01.gif)
![[경영,경제]%20회계%20-%20감가상각에%20관해서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2%BD%EC%98%81,%EA%B2%BD%EC%A0%9C%5D%20%ED%9A%8C%EA%B3%84%20-%20%EA%B0%90%EA%B0%80%EC%83%81%EA%B0%81%EC%97%90%20%EA%B4%80%ED%95%B4%EC%84%9C_hwp_02.gif)
![[경영,경제]%20회계%20-%20감가상각에%20관해서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2%BD%EC%98%81,%EA%B2%BD%EC%A0%9C%5D%20%ED%9A%8C%EA%B3%84%20-%20%EA%B0%90%EA%B0%80%EC%83%81%EA%B0%81%EC%97%90%20%EA%B4%80%ED%95%B4%EC%84%9C_hwp_03.gif)
![[경영,경제]%20회계%20-%20감가상각에%20관해서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2%BD%EC%98%81,%EA%B2%BD%EC%A0%9C%5D%20%ED%9A%8C%EA%B3%84%20-%20%EA%B0%90%EA%B0%80%EC%83%81%EA%B0%81%EC%97%90%20%EA%B4%80%ED%95%B4%EC%84%9C_hwp_04.gif)
![[경영,경제]%20회계%20-%20감가상각에%20관해서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2%BD%EC%98%81,%EA%B2%BD%EC%A0%9C%5D%20%ED%9A%8C%EA%B3%84%20-%20%EA%B0%90%EA%B0%80%EC%83%81%EA%B0%81%EC%97%90%20%EA%B4%80%ED%95%B4%EC%84%9C_hwp_05.gif)
![[경영,경제]%20회계%20-%20감가상각에%20관해서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2%BD%EC%98%81,%EA%B2%BD%EC%A0%9C%5D%20%ED%9A%8C%EA%B3%84%20-%20%EA%B0%90%EA%B0%80%EC%83%81%EA%B0%81%EC%97%90%20%EA%B4%80%ED%95%B4%EC%84%9C_hwp_06.gif)
※감가상각의 의의 및 목적
고정자산의 가치감소를 산정하여 그 액수를 고정자산의 금액에서 공제함과 동시에 비용으로 계상하는 절차이다.
감가상각의 주목적은 취득원가의 배분이며 자산의 재평가는 아닐것이다. 즉, 감가상각비는 그 고정자산을 그 기간 중 이용하는 데 필요했던 그 기업의 가치희생액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업은 감가부분을 적립하여 고정자산의 갱신에 충당한다. 즉, 고정자산이 고유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시점까지 투입된 비용은 취득원가에 포함하는 것이며, 이에는 취득에 소요된 차입금의 이자도 포함한다
2) 잔존가액 : 잔존가액이란 자산이 폐기 처분…(생략(省略))
순서
설명
경영,경제,회계,감가상각,관해서,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경영,경제] 회계 - 감가상각에 관해서.hwp( 26 )
다. 이에는 경영자의 의사 결정으로부터 발생하는 부적응에 의한 감가와 진부화에 의한 감가가 있다
※감가상각의 결정요인
1) 취득가액 : 고정자산의 취득가액은 취득 당시의 고정자산가액과 고정자산을 취득하여 고유의 목적사업에 직접 사용할 때까지의 제반 비용을 포함한다.
회계상, 고정자산은 취득원가로 인식되기 때문에, 그 감가상각비는 고정자산에 대한 투하자본액의 당해 회계기간의 요회수금액이라고 여겨진다. 공장이나 기계설비와 같은 고정자산은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그 가치는 그것이 사용 불능이 되었을 때 모두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기 간에 걸쳐서 평균(average)적으로 감가되며, 그 기간마다 일부 가치가 생산물에 이전된다는 견해에서 각 기간의 비용으로 할당된 것을 감가상각비라고 한다. . 따라서 감가상각비는 유형자산의 장부가액이 공정가액에 미달하더라도 계속하여 인식한다
감가상각 방법에는 정액법, 정률법, 연수합계법, 생산량비례법 등이 있는데, 정액법, 정률법이 주로 쓰이지만, 정액법보다도 정률법이나 가속 상각법이 내용연수 초기에 더 많은 감가상각비가 절세효율가 있다
※감가의 요인
1) 물리적 감가
사용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우와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2) 기능적 감가(경제적 감가)
물리적 요인 이외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감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