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실험보고서 - 회로망 정리(arrangement)의 검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1-18 21:14
본문
Download : [자연과학]실험보고서 - 회로망 정리의 검증.hwp
그림 1-⒜와 같이 전압원과 전류원이 같이 존재하는 회로가 있다고 가정하자.
전압원의 제거는 그림 1-⒝와 같이 전압원을 떼어내고 그 자리를 이어 줌으로써 전원양단에 존재하던 전위차를 없애주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전원의 단락(short)이라고 한다.
전류원 제거의 경우는 그림 1-⒞와 같이 전류원을 끊어냄으로써 전원으로서의 기능을 없애는 것을 말하며 이를 전원의 개방(open)이라고 한다.”
실제 회로 해석에 있어서 중첩의 정리(整理) 를 적용할 경우, 하나의 전원만을 남겨놓고 나머지 전원은 모두 제거해야 하는데 이때 전원을 제거한다는 말은 회로의 다른 부분에는 아무런 effect(영향) 도 미치지 않고 단지 그 전원으로서의 기능만을 없애는 것을 의미한다.
(a)다전원회로의 예 (b) 전압원의 단락 (c) 전류원의 개방
그림 1 전원 제거의 예
이제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중첩의 정리(整理) 에 대한 일반적인 증명을 해보기로 한다.
실험결과/전기전자
회로망 정리(整理) 의 검증
experiment(실험)목적
회로망 해석시 자주 쓰이는 중첩의 원리, 테브낭-노튼의 정리(整理) , 밀만의 정리(整理) 및 상반정리(整理) 등을 experiment(실험)을 통해 검증해 본다. n개의 독립적인 폐로가 존재하는 임의의 회로망에 있어서 1만이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회…(생략(省略))
[자연과학]실험보고서 - 회로망 정리의 검증 , [자연과학]실험보고서 - 회로망 정리의 검증전기전자실험결과 , [자연과학]실험보고서 - 회로망 정리의 검증
순서
[자연과학]실험보고서 - 회로망 정리(arrangement)의 검증
설명
![[자연과학]실험보고서%20-%20회로망%20정리의%20검증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20-%20%ED%9A%8C%EB%A1%9C%EB%A7%9D%20%EC%A0%95%EB%A6%AC%EC%9D%98%20%EA%B2%80%EC%A6%9D_hwp_01.gif)
![[자연과학]실험보고서%20-%20회로망%20정리의%20검증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20-%20%ED%9A%8C%EB%A1%9C%EB%A7%9D%20%EC%A0%95%EB%A6%AC%EC%9D%98%20%EA%B2%80%EC%A6%9D_hwp_02.gif)
![[자연과학]실험보고서%20-%20회로망%20정리의%20검증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20-%20%ED%9A%8C%EB%A1%9C%EB%A7%9D%20%EC%A0%95%EB%A6%AC%EC%9D%98%20%EA%B2%80%EC%A6%9D_hwp_03.gif)
![[자연과학]실험보고서%20-%20회로망%20정리의%20검증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20-%20%ED%9A%8C%EB%A1%9C%EB%A7%9D%20%EC%A0%95%EB%A6%AC%EC%9D%98%20%EA%B2%80%EC%A6%9D_hwp_04.gif)
![[자연과학]실험보고서%20-%20회로망%20정리의%20검증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20-%20%ED%9A%8C%EB%A1%9C%EB%A7%9D%20%EC%A0%95%EB%A6%AC%EC%9D%98%20%EA%B2%80%EC%A6%9D_hwp_05.gif)
![[자연과학]실험보고서%20-%20회로망%20정리의%20검증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20-%20%ED%9A%8C%EB%A1%9C%EB%A7%9D%20%EC%A0%95%EB%A6%AC%EC%9D%98%20%EA%B2%80%EC%A6%9D_hwp_06.gif)
[자연과학]실험보고서,-,회로망,정리의,검증,전기전자,실험결과
Download : [자연과학]실험보고서 - 회로망 정리의 검증.hwp( 24 )
[자연과학]실험보고서 - 회로망 정리(arrangement)의 검증
다.
관련사항 및 이론(理論)
1. 중첩의 정리(整理)
회로망 내의 어느 한 부분을 흐르는 전류나 어느 소자양단의 전위차를 구해야 할 경우와 같이 부분적인 해석이 요구되거나 특히 한 회로망 내에 포함되는 전원의 주파수가 서로 다를 때에는 중첩의 정리(整理) (theorem of superposition)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거나 필수적이라 할 수 있따
이와 같이 중첩의 정리(整理) 는 시변성 또는 시불변성에 관계없이 모든 선형 회로망에 적용되며 다음과 같이 기술될 수 있따 즉 “다수의 전원을 포함하는 선형 회로망의 임의의 점에 있어서의 전류, 또는 임의의 두 점 간의 전위차는 각각의 전원이 단독으로 그 위치에 존재할 때 그 점을 흐르는 전류 또는 그 두 점 간의 전위차의 총합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