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조 소악부 -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6 11:13
본문
Download : 고려조 소악부 - 익재와 급암의 소악.hwp
2. 익재, 급암의 소악부 제작경위
8. 소악부의 문학사적 가치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4. 소악부의 내용상 특징
3.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의 小樂府 전문
고려조 소악부 -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를 중심으로
7. 소악부의 내용을 통해 본 민중의 삶
고려조 소악부 -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를 중심으로
이우성은 <고려말기의 小樂府>라는 논문에서 중국(中國) 재래의 악부와 구별하기 위함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樂府라는 이름을 취하면서도 중국(中國)의 악조를 답습한 것이 아님은 물론 중국(中國)적 발상에 의할 종래의 악부시가 아니고, 내용은 우리나라 속요를 담은 것이기 때문이다. 서수생은 小樂府의 小자를 붙인 것은 중原因 大國에 小國이란 사대, 자기폄시에서 동방 시골의 전승민요란 의미를 갖고 있다 곧 소화시평이라든지 소화외사라든지 하는 것과 마찬가지다고 하였다. 그 다음에는 소악부의 의의에 상대하여 알아보고 이제현과 민사평의 소악부를 구체적인 작품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2. 及庵의 小樂府
1. 소악부의 정이 및 명칭문제
Ⅱ. 본론
Ⅲ. 결론
고려조 소악부 -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를 중심으로





본고에서는 먼저 소악부의 정이와 그 명칭 ․ 형성경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소악부의 정이와 명칭 ․ 형성경위를 알아보는 것은 소악부의 정이 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 소악부의 definition 및 명칭문제
순서
한국 악부시는 여타의 한시체에 비해 민족적 ·민중적 성격을 보다 강하게 구현할 수 있었다. 서수생, 국문학논고, 문이당, 1965, P.65 및 고려한문학연구, 형설출판사, 1971, P.209
다.
고려조 소악부 -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를 중심으로
6. 소악부의 형식
설명
2.1. 益齋의 小樂府
원래 악부는 중국(中國)문학에 있어서는 중요한 한 장르로 이어져 면면히 계속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악부에 대한 문헌이 극히 드물었다. 이 악부문학이 중국(中國)에서 전래되면서 우리나라에서는 소악부라는 명칭이 쓰였는데, 이에 대한 이견은 아래와 같이 많다. 기실 이제현은 우리나라 문인 중에 詞曲에 능통한 유일한 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 그의 문집 속에는 長短句라는 title 아래 침원춘, 강신자이래 수십 장의 詞가 들어있다 詞를 자유로이 창작할 수있을 만큼 중국(中國)의 악조에 조예가 깊었다고 하는 그가 중국(中國) 전래의 樂府를 의식하면서 그것과는 완전히 출발부터 달리한 이 작품들을 小樂府라고 명명했음이 그럴 성도 싶은 것이다고 설명(explanation)하고, 이어 다른 하나는 고려 재래의 아악, 당악 기타 궁정악과 구별하기 위함이 아닌가 한다.
Ⅰ. 서론
고려조 소악부 -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를 중심으로
5. 소악부의 표현상 특징
그리고 이종찬 교수는 <소악부시고>라는 논문 이종찬, 동악어문논집 창간호, 동국대학교, 동악어문학회, 1965, P.35-42
6.1. 작품 제작 양식
Ⅱ. 본론
고려조 소악부 -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를 중심으로
에서 소악부의 小字는 절구시를 말하는 小字로서 소악부란 절구
.
고려조 소악부 -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를 중심으로 고려조 소악부 -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를 중심으로 고려조 소악부 -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를 중심으로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소악부의 정의 및 명칭문제 2. 익재, 급암의 소악부 제작경위 2.1. 益齋의 小樂府 2.2. 及庵의 小樂府 3.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의 小樂府 전문 3.1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3.2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4. 소악부의 내용상 특징 5. 소악부의 표현상 특징 6. 소악부의 형식 6.1. 작품 제작 양식 6.2. 익제(益齎) 소악부와 급암(及庵) 소악부의 양식적 특징 7. 소악부의 내용을 통해 본 민중의 삶 8. 소악부의 문학사적 가치 Ⅲ. 결론 <참고문헌>
한국 악부시란 장르상 한시의 한 갈래이고, 창작주체의 면에서 전문적 문인의 작품이며, 소재 ·주제 ·작풍의 면에서 민간의 삶의 모습과 자국의 토속 ·history(역사) 를 읊조리고 있고, 정서적 면에서는 시인자신의 개인적 처지나 감회보다는 타인의 처지나 사회적 감정을 대변하는 시라고 말할 수 있다 박혜숙, 형성기의 한국악부시연구, 한길사, 1991, P.50
6.2. 익제(益齎) 소악부와 급암(及庵) 소악부의 양식적 특징
.
3.2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악부는 중국(中國) 한대(漢代)에 각지의 민요를 채집하여 음악을 관장하던 관청의 이름으로, 거기서 불리던 노래의 가사인 시가를 악부라 하였는데 그 뒤 음악과 함께 쓰이지 않고 시가만 독립하게 되었다. 그리고 구체적인 작품들을 감상하고 난 후에는 소악부의 형식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우성, 한국한문학, 제1집, 1976, P.5
Download : 고려조 소악부 - 익재와 급암의 소악.hwp( 11 )
- 목 차 -
3.1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소악부는 그 당시 민중들의 입에서 입으로 불리던 노래를 한시의 형태로 바꾼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모두 칠언절구 형식으로 이루어진 이들 노래는 다양한 주제와 소재를 통해 고려후기 민중의 생활상을 잘 표현해 내고 있어 우리말로 전해지는 고려가요와 함께 이 시대 민중문학의 숨결을 짐작하는 좋은 자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