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악부의 定義(정의) - 이제현의 소악부 민사평의 소악부 형식적 characteristic(특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9 22:50
본문
Download : 소악부의 개념 - 이제현의 소악부 민.hwp
이 열일곱 편은 물론 이제현과 민사평이 적은 것이지만, 그 내용을 보면 우리말로 된 노래를 한시로 옮긴 것임을 금방 알 수 있다. 모두 칠언절구 형식으로 이루어진 이들 노래는 다양한 주제와 소재를 통해 고려후
.
소악부는 고려 후기 이제현과 민사평이 쓴 한시 17편을 말한다. 민사평의 작품은 <급암선생시고>에 6편이 실려 있다. 실제로 이들 노래에는 고려가요인 <처용가>나 <정석가>, <쌍화점>과 같은 노래들의 전부 혹은 일부를 그대로 한시로 옮긴 작품들이 있다. http://cafe.naver.com/borisogol/42
Ⅱ. 소악부의 개념
소악부의 定義(정의) - 이제현의 소악부 민사평의 소악부 형식적 characteristic(특성)
속악가사와 소악부라는 이름으로 이제현(李齊賢, 1286~1367)과 민사평(閔思平, 1291~1359)이 남긴 일련의 한시는 관련이 있다. 모든 작품을 다 다룰 수 없기에 개인적으로 문학적 의의가 높다고 사려 되는 작품들을 실었다.
1. 소악부의 definition
설명
소악부는 그 당시 민중들의 입에서 입으로 불리던 노래를 한시의 형태로 바꾼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시라도 표현이나 정서에서는 우리 문학다운 면모를 갖추어야 하겠다는 자각이 일어나서 그런 작품의 출현을 보게 되었다. http://cafe.naver.com/borisogol/42
다. 구체적인 작품들을 감상하고 난 후에는 소악부의 형식적 특성(特性)과 의의를 살펴보도록 한다. 조동일, 위의 책, p.155.
소악부의 定義(정의) - 이제현의 소악부 민사평의 소악부 형식적 characteristic(특성)
기 민중의 생활상을 잘 표현해 내고 있어 우리말로 전해지는 고려가요와 함께 이 시대 민중문학의 숨결을 짐작하는 좋은 reference(자료)다. 그 다음에는 이제현과 민사평의 소악부를 구체적인 작품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
Download : 소악부의 개념 - 이제현의 소악부 민.hwp( 85 )
소악부는 다양한 주제와 소재를 통해 고려후기 민중의 생활상을 잘 표현해 내고 있어 우리말로 전해지는 고려가요와 함께 이 시대 민중문학의 숨결을 짐작하는 좋은 reference(자료)다. 소악부 덕분에 소악가사를 다른 측면에서 재검토하고, 속악가사로 전하지 않는 우리말 노래까지 어느 정도 알아볼 수 있다.순서
소악부의 개념 - 이제현의 소악부 민사평의 소악부 형식적 특성(特性)
유행하던 우리말 노래를 한시로 옮긴 것을 china의 용어를 사용해 악부(樂府)라고 하고, 칠언절구의 짧은 형식을 사용했으므로 소(小)자를 얹었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삭산업사, 2006), p.155.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소악부의 개념 - 이제현의 소악부 민사평의 소악부 형식적 특성





소악부의 개념 - 이제현의 소악부 민사평의 소악부 형식적 특성 소악부의 개념 - 이제현의 소악부 민사평의 소악부 형식적 특성
소악부의 定義(정의) - 이제현의 소악부 민사평의 소악부 형식적 characteristic(특성)
본고에서는 먼저 소악부의 definition 와 그 명칭 ․ 형성경위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소악부의 definition 와 명칭 ․ 형성경위를 알아보는 것은 소악부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도리 수 있을 것이다. 이제현의 소악부는 <익제난고>에 11편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