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의 정의(定義) 과 역할, 동기부여(모티베이션) 목표(目標)설정이론, 동기부여(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03 01:50
본문
Download : 동기의 개념과 역할, 동기부여(모티베이션) 목표설정이론, 동기부여(모.hwp
통제(control)의 槪念 중에서는 학습자 통제와 관련된 원리로 일관성, 선택, 권한이 …(투비컨티뉴드 )
순서
%20%EB%AA%A9%ED%91%9C%EC%84%A4%EC%A0%95%EC%9D%B4%EB%A1%A0,%20%EB%8F%99%EA%B8%B0%EB%B6%80%EC%97%AC(%EB%AA%A8_hwp_01.gif)
%20%EB%AA%A9%ED%91%9C%EC%84%A4%EC%A0%95%EC%9D%B4%EB%A1%A0,%20%EB%8F%99%EA%B8%B0%EB%B6%80%EC%97%AC(%EB%AA%A8_hwp_02.gif)
%20%EB%AA%A9%ED%91%9C%EC%84%A4%EC%A0%95%EC%9D%B4%EB%A1%A0,%20%EB%8F%99%EA%B8%B0%EB%B6%80%EC%97%AC(%EB%AA%A8_hwp_03.gif)
%20%EB%AA%A9%ED%91%9C%EC%84%A4%EC%A0%95%EC%9D%B4%EB%A1%A0,%20%EB%8F%99%EA%B8%B0%EB%B6%80%EC%97%AC(%EB%AA%A8_hwp_04.gif)
%20%EB%AA%A9%ED%91%9C%EC%84%A4%EC%A0%95%EC%9D%B4%EB%A1%A0,%20%EB%8F%99%EA%B8%B0%EB%B6%80%EC%97%AC(%EB%AA%A8_hwp_05.gif)
%20%EB%AA%A9%ED%91%9C%EC%84%A4%EC%A0%95%EC%9D%B4%EB%A1%A0,%20%EB%8F%99%EA%B8%B0%EB%B6%80%EC%97%AC(%EB%AA%A8_hwp_06.gif)
동기의 정의(定義) 과 역할, 동기부여(모티베이션) 목표(目標)설정이론, 동기부여(모
동기의 개념과 역할, 동기부여(모티베이션) 목표설정이론, 동기부여(모 , 동기의 개념과 역할, 동기부여(모티베이션) 목표설정이론, 동기부여(모기타레포트 , 동기 개념과 역할 동기부여 모티베이션 목표설정이론 동기부여 모
동기의 정의(定義) 과 역할, 동기부여(모티베이션) 목표(目標)설정이론, 동기부여(모
다. 호기심(curiosity)의 경우 Malon은 감각적 호기심과 지적 호기심으로 구별하고 있다아 감각적 호기심은 시청각의 감각적 자극을 통해서 학습자의 주의와 호기심을 유발하는 것이며, 지적 호기심은 새로운 지식을 통해서 호기심이 발동하게 되는 것이다.
레포트/기타
동기,개념과,역할,동기부여,모티베이션,목표설정이론,동기부여,모,기타,레포트
Download : 동기의 개념과 역할, 동기부여(모티베이션) 목표설정이론, 동기부여(모.hwp( 31 )
설명
Ⅰ. 개요
Ⅱ. 동기의 槪念
Ⅲ. 동기의 역할
1. 발생적 기능(시발적 기능)
2. 지향적 기능
3. 조정적 기능
4. 강화적 기능
Ⅳ. 동기부여(모티베이션)의 目標(목표)설정이론(理論)
Ⅴ. 동기부여(모티베이션)의 공평성이론(理論)
1. 투입
2. 성과
3. 이론(理論)의 전제
4. 의의
Ⅵ. 동기부여(모티베이션)의 욕구이론(理論)
1. 욕구계층 이론(理論)
2. ERG 이론(理論)
3. 성취동기
Ⅶ. 동기부여(모티베이션)의 동기부여위생이론(理論)
1. 위생요인
2. 동기요인
Ⅷ. 동기부여(모티베이션)의 사회적 비교이론(理論)
Reference List
Ⅰ. 개요
동기에 대한 定義(정의)는 각 학자들마다 다양하게 定義(정의) 내려지고 있다아 일반적으로 동기는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로 구분하고 있다아 Deci(1975)에 따르면, 내재적으로 동기가 유발된 개인의 행동은 행동 그 차체 이외에 어떠한 특정 보상을 원치 않는다고 한다. 즉 내재적 동기를 지닌 개인은 무언가를 하는 자체에서 오는 즐거움 때문에 열심히 노력한다는 것이다. 한편 외재적 동기를 지닌 개인에 관련되어는 행동 그 자체보다는 수반되는 보상을 통해서 열심히 노력하게 된다된다. 특히 난이도가 학습자에게 적절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환상(fantasy)은 학습자들이 맥락적으로 상황을 상상함으로서 실제와 같은 이미지를 갖게 하여 동기를 유발시키는 것이다.
Malon(1987)의 경우, 동기에서 주요한 요인을 도전감, 호기심, 환상, 통제인 4가지로 구분하고 있다아 도전감(challenge)의 요소에서는 학습자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없을지를 확신할 수 없는 경우에 증가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