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안정센터직업상담원제도의 reality(실태) 및 improvement(개선)方案 - 고용안정센터 직업상담원제도 전반에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8 02:45
본문
Download : 고용안정센터직업상담원제도의실태및개선방안.hwp
노동부 고용안정센터·인력은행 인적구성現況에 따르면 올해 7월 현재 전체 2,539명 가운데 공무원이 21.0%인 532명인 반면, 민간 직업상담원 비율은 79.0%(2,007명)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 직업상담원제도의 실태(實態)
직업상담원의 대다수는 20대 후반(69.5%)의 대졸이상 학력(99.1%)을 소지한 여성(74.0%)이며, 주요 담당 업무는 취업지원 업무(45.7%)와 고용insurance 업무(42.6%)이다.
따라서 실업인정, 취업상담·알선 등의 충실화를 통해 실업자 재취업과 일반구직자들의 취업 강화를 도모하고 부정수급의 확인 및 적발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적정한 직업상담원 인력규모 확보가 필수적이다.설명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직업상담원들의 신분은 일용직으로 되어 있으며 1년 단위로 고용계약을 갱신하고 있다
3. 운영상 problem(문제점) 및 改善plan
1) 적정규모의 직업상담원 확충 필요
충실한 업무수행에 필요한 절대적 인력 규모가 부족해 실업인정 및 취업상담 업무 1건당 mean(평균) 소요시간이 각각 9분, 12분 가량에 불과하다.


고용안정센터 직업상담원제도 전반에 대하여
1. 도입 및 발전과정
지난 96년 구직자들에 대한 전문적인 취업알선 수행을 위해 인력은행 및 고용안정센터가 신설되고 민간 직업상담원을 선발·배치했다. , 고용안정센터직업상담원제도의 실태 및 개선방안 - 고용안정센터 직업상담원제도 전반에 대하여인문사회레포트 , 고용안정센터직업상담원제도 개선
Download : 고용안정센터직업상담원제도의실태및개선방안.hwp( 20 )
고용안정센터직업상담원제도의 reality(실태) 및 improvement(개선)方案 - 고용안정센터 직업상담원제도 전반에 대하여
고용안정센터직업상담원제도의 reality(실태) 및 improvement(개선)方案
레포트/인문사회
다. 또 취업상담 등 고유업무 이외의 행정업무가 많아 직업안정서비스 업무는 형식적으로 처리되고 있으며, 부정수급의 적발도 어려운 실정이다.
2) 직업상담원 신분보장 및 임금현실화
1년 단위 계약…(省略)
순서
고용안정센터직업상담원제도,개선,인문사회,레포트
고용안정센터직업상담원제도의 실태 및 개선방안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한편, ILO data(資料)인 주요국가의 직업안정기관 인력비교에 따르면 한국의 직원 1인당 근로자수가 8,570명(2001년 7월)으로 영국 745명(99년), 독일 394명(2000년), 스웨덴 325명(97년), 日本(일본) 3,401명(97년) 등에 비해 무려 3배∼26배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96년 42명에 불과하던 직업상담원은 올해 7월 현재 2,007명으로 대폭 확대됐고 고용안정센터의 숫자도 52개소에서 190개소로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