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문화도시 서울을 찾아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4학년-문화교양학과-세계의도시와건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18 13:39본문
Download : ★생태문화도시 서울을 찾아서★-방통대 4학년-문화교양학과-세계의도시와건축.hwp
★생태문화도시 서울을 찾아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4학년-문화교양학과-세계의도시와건축
Download : ★생태문화도시 서울을 찾아서★-방통대 4학년-문화교양학과-세계의도시와건축.hwp( 70 )





순서
방송통신/기타
★생태문화도시 서울을 찾아서★직접 작성한 서평입니다~생태문화도시서울 , ★생태문화도시 서울을 찾아서★-방통대 4학년-문화교양학과-세계의도시와건축기타방송통신 ,
직접 작성한 서평입니다~
★생태문화도시 서울을 찾아서★
설명
Ⅰ. 서 론
Ⅱ. 근대화와 서울
1. 식민지 근대화의 길
2. 군사적 성장주의와 폭압적 근대화
Ⅲ. 文化(culture) 도시 서울의 구상
Ⅳ. 청계천의 좌절과 희망
Ⅴ. 결 론
그 외에도 일제에 의한 경복궁 파괴, 일제가 한강에서 백악까지 한달음에 쳐들어갈 수 있기 위해 만든 현재의 ‘태평로’, 서울의 도성 파괴 등 일제의 ‘서울 파괴작업’은 이루 말할 수가 없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전에 일제가 차지하고 있던 지배자의 자리에 미국이 들어앉았다.
지난 100년간 한국은 커다란 change(변화)를 겪었다. 삶의 바탕을 이루는 역사(歷史)와 文化(culture) 와 자연이 송두리째 파괴되는 change(변화)였다. 더 나은 삶을 향한 시민(Citizen)들의 갈구가 결국 이 …(To be continued )
생태문화도시서울
,기타,방송통신
다. 미국 군대는 ‘해방군’이 아니라 ‘점령군’으로 이 나라에 들어왔다. 물론 일제처럼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는 것은 아니지만, 미국은 이 나라에서 우리가 제대로 통제할 수 없는 굉장한 권력을 휘두르고 있따 민주화와 함께 이런 불평등성이 많이 나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도 근본적인 불평등성은 improvement(개선)되지 않은 채 남아 있따
이로부터 많은 문제들이 빚어지고 있따 이 때문에 이 나라에는 지금도 미국을 제국주의로, 이 나라를 그 식민지로 보는 사람들이 있따 과연 이 사람들이 완전히 틀린 것일까? ‘식민지’는 아니더라도 구조적 불평등은 분명한 사실이 아닌가? 불행하게도 공간적인 면에서 서울은 그 증거로 활용될 수 있는 事例들을 많이 가지고 있따 백악에서 한강으로 이어지는 길에 자리 잡고 있는 미국대사관과 용산 미군기지는 그 대표적인 예다. 난개발의 도시 서울에서 우리는 지금도 일제와 씨름을 하고 있따 日本 이 심어놓은 전봇대, 日本 이 뚫어놓은 찻길, 일제가 멋대로 고치고 만들어놓은 것들이 서울의 모습이 되고 말았다. 이 희망은 식민지 근대화의 역사(歷史)를 바로잡기 위한 ‘역사(歷史) 바로세우기’의 희망이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이제 시민(Citizen)의 힘으로 이러한 파괴적 change(변화)를 바꾸어놓으려는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펼쳐지게 되었다.
일제는 한 세대가 넘는 세월 동안 공간과 제도와 사람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일제 부역자 처단을 통해 사람을 바꾸고, 그로부터 제도와 공간을 바꾸어나가야 했으나, 어느 해결해야할문제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