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인센티브1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0 04:09
본문
Download : 개인인센티브1.hwp
이러한 성과급 제도는 개인성과급(인센티브)과 집단성과급(인센티브)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 중 개인인센티브(성과급)제도에 대하여 종류별로 그 개요를 살펴보고자 한다.
…(생략(省略))
다. 이러한 방식은 비반복적, 많은 기술 요하는 과업에서 이용이 용이한 제도이다.
3. 시간기준 성과급제도
1) 표준시간급제
표준시간급제는 단위시간당 임금률에 표준시간을 곱하여 성과급을 산정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가장 계산이 용이하며, 직원들의 수용도가 높고 투명하게 제도를 운영할 수 있는 장점(長點)이 있따 생산량이 곧 성과급의 기준이 되어 능률향상 자극에 效果적이나, 제품의 질에 대한 기준 설정이 어려워 제품 품질저하 우려가 있는 점이 단점이라고 할 수 있따
2) 복률성과급
복률 성과급 제도는 두 개이상의 임률을 적용하여 개개인에게 모티베이션 부여 측면서 더 效果적인 성과급 제도이다.
Download : 개인인센티브1.hwp( 23 )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개인인센티브1 , 개인인센티브1경영경제레포트 , 개인인센티브


순서
개인인센티브1
개인인센티브1
개인인센티브,경영경제,레포트
개인 인센티브제도 개요
1. 들어가며
성과급 제도라 함은 기본적으로 사전에 객관적 성과기준을 설정해놓고, 사후 실제 성과정도 에 따라 기본급 이외 보상을 변동적으로 제공하는 제도이다.
2. 생산량 기준 성과급
1) 단순성과급
단순성과급은 작업 한 단위당 임금단가에 실제 작업성과를 곱하여 성과급을 산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복률 성과급제도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들이 있따
①테일러식
과학적으로 설정된 표준작업량 기준으로 2개 임률을 설정하는 방식
②메릭식
중간수준 종업원 배려하여, 3단계 임률을 정하여, 초보자도 비교적 쉽게 goal(목표) 달성토록 자극하여 노동력 활성화를 꾀하는 방식
③일급보장 성과급제(멘체스터 플랜)
저능률자 생활보장에 초점을 맞추어,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구성원의 생활보장을 동시에 보장하는 방식으로 구성원이 표준과업 미달시 일급을 보장 지급하고, 초과 달성시 그에 대한 성과급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기업의 입장에서 구성원의 성과증진 노력을 유인할 수 있는 수단이 되어 최근에 많이 확산되고 있는 보상체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