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30 02:02
본문
Download : 사상.hwp
,인문사회,레포트
다.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은 고도로 발전된 논리체계를 가지고 있으면서 치밀하고 복잡하게 논의되기 때문에, 섣불리 그 논의 속에 빠져들어가다가 보면, 빽빽한 숲속에 들어가 전체의 숲 모양을 파악하지 못하고 방향을 잃고 헤매게 되는 것처럼, 사상의 전체적인 윤곽과 방향과 목적을 파악하지 못하고 헤매게되기 싶다. 따라서 잎 하나 하나를 조사하고 分析하다가 보면 지리멸렬해져서 전체의 윤곽을 파악하지 못한다.레포트/인문사회
설명
1. 머리말
사상이란 특수계층의 비현실적인 사유의 세계가 아니라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철학적·윤리적 근본문제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해답이며, 위대한 사상가의 사상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개인적인 해답이 아니라 그 시대 그 지역에 사는 모든 사람들의 모든 문제에 대한 공통적인 해답이다. 목은이색 , 사상인문사회레포트 ,
사상에 대한 reference(자료)입니다. 그러므로 나무 전체의 모습을 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줄기와 가지를 먼저 파악하고 다음으로 잎 하나 하나의 성질과 모양을 파악해가야 하는 것처럼 퇴계와 율곡을 정점으로 하는 한국성리학의 전체 체계와 윤곽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한 첫걸음은 목은의 사상을 바로 이해…(To be continued )
사상




순서
목은이색
Download : 사상.hwp( 66 )
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의 목적과 전체의 윤곽은 성리학의 수용기 였던 고려말의 목은 이색의 성리학 속에 소박하게 나타나 있따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이 하나의 완성된 나무라면 목은의 성리학은 줄기와 가지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따 완전한 나무는 잎들에 가리워져 줄기와 가지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위대한 사상일수록 한 사람의 손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세월을 거치면서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결집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따 이와 같이 볼 때, 조선시대의 성리학이 퇴계와 율곡을 중심으로 한 한국성리학의 내용은 오래 전 성리학의 수입 기시인 고려말에 제기된 문제들에 대한 해답으로서 이해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처음 출발하였던 시기에 제기된 문제가 무엇이었고, 또 그 문제의 해결방법과 목적이 무엇이었는가를 찾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