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접근법 - 도덕교과에의 적용가능성과 의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4 11:02
본문
Download : 프로젝트 접근법 - 도덕교과에의 적용가능성과 의의.hwp
1) 예비 계획
① 교사는 학생들에게 인간복제 program의 뜻에 관해서만 알아오는 과제課題를 지시한다.
인간복제에 대해 조사해 봅시다. 예를 들면, 맡은 주제별로 각기 다른 연극을 다른 모둠 앞에서 일정한 날짜…(생략(省略))
프로젝트 접근법의 槪念과 기원, 특징과 교육적 가치 및 의의 등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프로젝트 접근법의 적용 instance(사례)와 7차 바른 생활ㆍ도덕 교과에의 적용 가능성과 의의 및 비판과 보완해야 할 점에 마주향하여 정리(整理) 했습니다. 프로젝트접근법 , 프로젝트 접근법 - 도덕교과에의 적용가능성과 의의사범교육레포트 ,
순서
Download : 프로젝트 접근법 - 도덕교과에의 적용가능성과 의의.hwp( 88 )
다. 이 때 각종 자료(資料)를 활용하여 인간복제 program의 개괄적 내용에 대해 파악한다.
③ 교사와 학생의 공동 노력에 의해 만들어진 주제망을 사용하여 몇 가지의 큰 아이디어로 분류·요점하고, 각 부류의 아이디어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용어를 만들어 본다. (인간복제program이 우리에게 가져다 줄 수 있는 이점, 폐해, 사회의 反應(반응), 나라면…… 등)
2) 스타트 단계
① 학생들과 함께 수행 과제課題를 설정한다.
설명
,사범교육,레포트






Ⅰ. 모형 說明(설명)
1) 프로젝트(project) 접근법의 개념(槪念)
2) 프로젝트 접근법의 기원
3) 킬패트릭의 프로젝트 유형 분류 (1918)
4)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징
5) 프로젝트 접근법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 및 의의
6)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행 절차
Ⅱ. 모형 적용 사례(instance)
1) 예비 계획
2) 스타트 단계
3) 전개 단계
4) 요점단계
Ⅲ. 모형의 7차 바른 생활ㆍ도덕 교과에의 적용 가능성과 의의
1) 도덕 교과에의 적용 가능성
2) 도덕 교과에 적용할 때 가지는 의의
Ⅳ. 모형에 대한 비판과 보완해야 할 점
• conclusion 또는 결과 발표를 통한 주변 사람들과의 공유
• 지식의 내면화
② 교사의 관심
• 프로젝트의 conclusion 및 결과를 주변 사람들과 어떻게 공유할 것인가?
• 새롭게 획득한 지식의 내면화를 위해 학생들에게 가장 적합한 상상적 활동은 무엇인가?
• 학생들이 주제에 관하여 잘 이해하지 못한 부분은 무엇이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③ 학생 활동
• 프로젝트 활동 과定義(정의) 모든 결과물 또는 conclusion 을 검토함
• 프로젝트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활동을 평가하고 전시를 위해 자신의 대표적인 작품을 스스로 결정함
•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에 의한 학습을 재창조함
• 그리기, 쓰기, 말하기 등을 통한 새로운 지식의 내면화
Ⅱ. 모형 적용 사례(instance)
▷ 인간복제(Genome Project)에 대한 내용을 프로젝트 접근법에 의하여 수업을 실시하는 방식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젝트접근법
레포트/사범교육
프로젝트 접근법 - 도덕교과에의 적용가능성과 의의
프로젝트 접근법의 개념과 기원, 특징과 교육적 가치 및 의의 등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프로젝트 접근법의 적용 사례와 7차 바른 생활ㆍ도덕 교과에의 적용 가능성과 의의 및 비판과 보완해야 할 점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② 교사는 학생들과 함께 ‘인간복제 program’에 대해 브레인 스토밍과 마인드 맵핑을 통하여 학습할 주제에 대한 주제망을 만든다. 이 때 교사는 학생들이 해석하여 인지한 ‘인간복제’의 의미를 확인하여 부족한 것이 없는지를 진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