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과] 공공관리론4)신공공관리론주요특징과 문제점 및 어떤방향변화되는것이 바람직한가00.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4 22:36
본문
Download : 공공관리론4신공공관리론주요특징과 문제점 및 어떤방향변화되는것이 바람직한가00.hwp
Ⅱ. 본 론
Ⅰ. 서 론
[행정학과] 공공관리론4)신공공관리론주요특징과 문제점 및 어떤방향변화되는것이 바람직한가00.
설명
조창현, (2005), 행정학원론, 법지사.
1) 신공공관리론의 개념
김흥률(2005), 신공공관리개혁과 성과감사, 한국행정연구, 제7권 제3호.
이명석. (2001). “신공공관리론, 신거버넌스론, 그리고 김대중 government 의 행정개혁”. 「한국행정학회」. pp.305~325.
김판석-박중훈. (1996). 행정서비스 종합대책의 종합구상(Ⅰ).한국행정연구원.
2. 우리 신공공관리론에 입각한 government 운영의 變化
⑥ 신공공관리론은 많은 정치적인 문제들을 교묘히 회피하는 과오를 범하고 있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그래서 나온 것이 1980대에서 지금까지 `작지만 강한government `를 추구하게 된 겁이다. 즉, government 개입에 의한 총체적인 효율성이 저하되는 일련의 현상을 ‘government 실패’라고 한다. 그 이유는 자본주의 실패라는 결과에서 나온 말이다. 이의 原因에는 행정기구의 내부성과 조직내부목표, 즉 관료주의화와 관료제의 특권집단화, 조직 내 비능률과 서비스 제공비용의 계속적 증가, government 개입으로 인한 파생적 외부효과(效果)성, 소득과 권력배분의 불평등, 비용과 수익의 절연, 대리인 이론(理論)에 입각한 철의 삼각지대(troica)의 형성, 정보의 불균형 현상 등이 있다아
④ 신공공관리론의 고객중심의 논리’가 수동적인 존재로 전락시킨다는 비판이 있다아
요즘기업도 신자유주의적인 입장에서 작지만 효율적인 government 추구를 이상적으로 생각하고 있다아 그 중 하나가 이명박 government 가 추구하고 있는 공공기업의 개혁도 이런 신공공관리론에 입각한 행정government 의 개혁일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지나친 규제 강화나 비효율성으로 인해 government 실패가 야기 되었다. 1980년대 이후 government 실패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영미국가를 중심으로 민영화, government 기능의 재조정, 규제완화 등 신공공관리론(new public management)에 바탕을 둔 government 개혁이 진행되고 있다아
4) 市民개념의 형해화(형평성 측면)
문영규. (1993). 행정서비스 질에 influence(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일선 공무원의 행태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대학원.
6) 구조의 개혁: 수평적, 수직적 전文化(culture)
2) 신공공관리론의 배경
행정학과 공공관리론4공통
그러면 본론으로 들어가서 신공공관리론의 주요 특징과 問題點을 설명 후 동 이론(理論)이 어떤 방향으로 變化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제시해 보기로 하자.
7) 의사결정과 통제의 개혁: 분권화
순서
4) 신공공관리론의 주요특징
공공관리론4)신공공관리론주요특징과 문제점 및 어떤방향변화되는것이 바람직한가00. 신공공관리론의 주요 특징과 문제점을 설명하고, 동 이론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제시해 보시오. 행정학과 공공관리론4공통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이종수외.(2001). 새 행정학. 서울 : 대영文化(culture) 사.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2) 목표관리제와 근무성적평정
위 자료(data) 요약요약 잘되어 있으니
① 공공부문은 민간부문과 다르기 때문에 민간부문의 관리기법을 공공부문에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주장이 있다아
(2) government 회계제도의 개편 : 복식부기와 발생주의의 확대
2) 성과확보와 민주적 책임확보의 어려움(민주성 측면)
4. 신공공관리론적 행정개혁의 問題點
정정길, (2000), 행정학의 새로운 이해, 대명 출판사
Download : 공공관리론4신공공관리론주요특징과 문제점 및 어떤방향변화되는것이 바람직한가00.hwp( 62 )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1) 결과 중심적 성과주의 예산제도
③ 신공공관리론은 행정이 다른 중요한 가치들과 상충관계에 놓일 가능성이 있다아
신공공관리론의 주요 특징과 문제점을 說明(설명) 하고, 동 theory 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제시해 보시오.
⑦ 신공공관리론은 엄밀하게 검증된 이론(理論)이라기 보다는 단순히 몇몇 개혁 아이디어의 모음이라는 것이다.
1930-1970 대에 들어와서는 복지국가를 지향하게 된다. 즉 최대의 행정이 최선의 행정이다는 주장으로 규제강화 거대government 다 다른 말로 하면 `복지국가` `적극국가`라고도 한다. 6. 신공공관리론이 變化되는 방향에 대한 바람직한 본인의 견해
서순복(2006), 신공공관리에 관한 보완적 접근: 정보 기술을 활용한 행정개혁,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3) government 감축과 민간화
⑤ 신공공관리론의 보편적인 적용가능성에 대한 비판이 존재한다.
공공관리론4)신공공관리론주요특징과 문제점 및 어떤방향변화되는것이 바람직한가00.
1) government 기능의 공동화(공익측면)
② 민주적 책임성과 기업가적 자율성/재량권간의 갈등으로 신공공관리론은 government 관료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비판이 있다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 신공공관리론의 주요 내용
4) 시장적, 준시장적 기제의 도입
5. 신공공관리의 비판
배용서,(2001) 한국행정학보 제34권 2호
오세덕-여운환. (2000). 현대행정관리론. 서울 : 동림사.
2) 능률적 효율적 관리
신공공관리론주요특징, 신공공관리론, 어떤 방향으로 변화, 바람직한가본인견해, 신자유주의, 시장중심국가, 신공공관리론주요내용,
3) 예산측면
3) 신공공관리론’의 이론(理論)적 기초
5) 산출과 성과의 강조





김번웅-김동헌-김판석. (1997). 한국행정개혁론. 서울 : 법문사.
1. 신공공관리론의 대두배경과 이론(理論)과 특징
출처
Ⅰ. 서 론
Ⅲ. 결 론
김중규. (2005). 뉴 밀레니엄 행정학. 서울 : 성지각.
3) 사회외부요소와 동형화의 문제(절차적 합리성 측면)
1) 市民에 대한 공공서비스의 개선
1) 작은government (Downsizing) 지향 - 충실한 조타수 역할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