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북한핵 실험에 대한 북한의 입장 / 북한 핵 문제 , 북한의 입장 1. 북한 핵 관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13 22:19
본문
Download : 북한핵실험에대한북한의입장.hwp
또 북한이 94년 이전에 빼돌렸던 것으로 추정되는 플루토늄은 핵탄두 1~2발 정도 만들 수 있는 분량뿐이어서 이것으로는 핵 프로그램을 지속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핵폭탄의 재료인 플루토늄(Pu-239)은 원자로에서 생성시켜 재처리라는 화학처리 과정 등 복잡한 과정을 통해 추출하지만, 우라늄은 농축 시설만 갖추면 생산할 수 있다는 점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90년 전후로 이미 70여회의 핵무기 기폭실험 등 플루토늄탄 설계 경험과 소련, 파키스탄 등 핵 보유국에서 습득한 노하우로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우라늄탄을 제작할 수 있었을 것으로 핵 전문가들은 analysis(분석) 하고 있따 북...
다. 북한은 플루토늄을 확보하기 위해 86년과 89년 전기출력 5㎿급 원자로와 재처리 시설인 방사화학 실험실을 각각 영변에 건설해 가동했다.
설명
북한 핵 문제, 북한의 입장 1. 북한 핵 관련 시설 현황 2. 북핵 개...
Download : 북한핵실험에대한북한의입장.hwp( 66 )
인문사회 북한핵 실험에 대한 북한의 입장 / 북한 핵 문제 북한의 입장 1. 북한 핵 관련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문사회] 북한핵 실험에 대한 북한의 입장 / 북한 핵 문제 , 북한의 입장 1. 북한 핵 관련
순서

북한 핵 문제, 북한의 입장 1. 북한 핵 관련 시설 현황 2. 북핵 개...
북한 핵 문제, 북한의 입장 . 북한 핵 관련 시설 present condition . 북핵 개발 프로그램 북한이 핵무기 개발 방식을 플루토늄에서 우라늄 핵폭탄으로 방향을 바꾼 것은 1994년 미국과 체결한 제네바 기본합의로 플루토늄 확보가 한계에 봉착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된다. 그러나 80년대 말부터 북한의 핵 개발 움직임이 미국에 포착되면서 국제적인 압력에 못 이겨 제네바 기본합의를 체결했다. 그러나 북한으로선 70년대부터 수십 억 달러를 들여 개발해 온 핵 프로그램을 그대로 포기하기에는 너무 아까워 우라늄 방식으로 방향전환을 시도했을 것이라고 국방연구원 신성택(辛成澤.핵공학 박사)부장이 지적했다. 기본합의 체결에 따라 당시 북한은 원자로와 방사화학 실험실 등 플루토늄 생산시설을 비롯한 핵 시설을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신고했고, 이후 이런 시설은 폐쇄됐다. .북한은 황해북도 평산과 평안남도 순천 등에 매장된 우라늄 2천6백만t 가운데 실제 채굴할 수 있는 양만 4백만t이나 되고 우라늄 정련시설도 이미 갖고 있따 북한으로선 비밀 우라늄 농축 시설만 있으면 90% 이상 농축 우라늄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