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유역 백제 고분의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8 00:42
본문
Download : 금강 유역 백제 고분의 연구.hwp
이후 1974년부터 1976년에 걸쳐 서울 강남의 잠실지구 개발에 따른 구제발굴이 실시되어 석촌동, 가락동, 방이동 일대에서 적석총과 석실분이 조사되었다. 그러나 1971년 공주 무영왕릉 전축분에 대한 조사는 백제고분에 대한 새로운 주목과 연구 분위기를 조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금년도에는 천안 용원리에서 대규모 토광묘와 석곽묘유적이, 그리고 오창 송대리에서는 주구토광묘와 토광묘…(省略)
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구제발굴과 더불어 학술발굴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백제고분에 대한 실체를 파악하는데 많은 reference(자료)가 축적되어 백제사 연구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금강유역백제고분의연 , 금강 유역 백제 고분의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Ⅰ. 금강류역의 범위
Ⅱ. 주구묘
1. 주구묘의 입지
2. 주구묘의 구조
1) 분구
2) 평면형태
3) 매장시설
3. 주구묘와 주구토광묘의 비교
Ⅲ. 수혈식석곽분
1. 수혈식석곽분의 입지
2. 수혈식석곽분의 구조分析(분석)
3. 수혈식석곽분의 매장양식
Ⅳ. 횡구식석곽분
1. 횡구식석곽분의 유형분류
2. 횡구식석곽분의 變化과정
1) 제Ⅰ유형의 특징
2) 제Ⅱ유형의 특징
Ⅴ. 횡혈식석실분
1. 횡혈식석실분의 입지
2. 횡혈식석실분의 구조
1) 분구
2) 평면상태
3) 석실위치
4) 천장형태
5) 바닥시설
+6) 연도
3. 횡혈식석실분의 유형분류
4. 횡혈식석실분의 전개과정
1) Ⅰ기 (도입기)
2) Ⅱ기 (정착기)
3) Ⅲ기 (확산기)
4) Ⅳ기 (쇠퇴기)
금강류역의 유적에 대한 조사는 일제하 조선고적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왕릉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능산리고분에 대한 1915년의 서하총과 중하총, 17년의 동하총 조사와 27년의 송산리 파괴분에 대한 조사, 경부자은에 의해 31년에 이루어진 교촌리·남산록·보통골고분 조사 그리고 33년의 송산리고분 조사 등 공주지역 고분군 그리고 영산강류역의 대형분묘에 대한 일련의 조사가 그 시초라고 할 수 있다 당시의 조사는 대부분 매장주체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오늘날의 시각으로 보면 저급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해방이후 1960년대까지 우리나라 학자에 의한 조사는 간헐적인 수습차원의 조사에 머물러 왔다. 한편 1986년도에 우연히 조사된 익산 입점리 횡혈식석실분(86-1호)에서 금동관모와 금동신발 등 금동제 유물과 china제 청자, 토기류 등 지역 최고 수장층의 면모를 보여주는 화려한 유물이 출토되어 궁륭형 횡혈식석실분의 전개와 지역지배 방식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그 연대와 성격을 두고 많은 논란을 제기시켜 주었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지금까지의 횡혈식석실분 연구중심에서 벗어나 토광묘와 수혈식석곽분, 옹관묘 등 다양한 묘제에 대한 연구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 국토개발에 따른 구제발굴이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왕도 중심의 조사에서 벗어나 백제고지 전지역으로 확대되었다.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금강 유역 백제 고분의 연구.hwp( 48 )






설명
금강 유역 백제 고분의 연구
,인문사회,레포트
금강 유역 백제 고분의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금강유역백제고분의연
순서
금강 유역 백제 고분의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