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 성선설과 성악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06:18
본문
Download : 레포트 - 성선설과 성악설.hwp
이러한 인간에 본성에 대한 많은 이론(理論)들은 다양하게 존재하며 다양한 이론(理論)들은 선과 악 두 방향으로 각각 수렴하기도 한다.
보고서 - 성선설과 성악설
라고 하였으니 심 → 성 → 천 즉 심의 작용을 통하여 심의 본질인 성을 알고 또 성을 통하여 천리를 인식할 수 있다고 하였다.
다.
1). 성선설
.
보고서 - 성선설과 성악설
설명
.
또 맹자는 양지양능설(良知良能說 )을 통해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도덕에 관한 앎과 능력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한비자는 이러한 행동들은 어린아이의 부모님으로부터 보상을 받기위해, 혹은 좋은 행실을 했다는 명예를 얻기 위해 하는 행동이지 순수하게 선한 마음으로 그렇게 하는 사람은 없다고 말한다. 인간은 과연 합리적인 존재인가 비합리적인 존재인가? 이런 문제는 성선설과 성악설로 대표되며 인간의 본성(性) 性이란 인간의 마음에 ’본래적인 것‘, ’타고난 것‘이란 뜻이다. 본래의 마음을 잘 보존하고, 본래의 성품을 잘 기르는 것이 하늘을 섬기는 방법이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에 인의예지의 사덕이 있으며, 그 단서는 남을 측은히 여기는 마음인 측은지심(惻隱之心),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악을 미워하는 마음인 수오지심(羞惡之心), 양보하고 겸양하는 마음인 사양지심(辭讓之心), 옳고 그름의 시비를 분별하는 마음인 시비지심(是非之心)으로 드러난다고 보았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은 과연 선한가 악한가로 나뉜다. “
어린아이가 엉금엉금 기어가다가 우물에 빠지려는 것을 보면 사람들은 누구나 어린아이를 구하려 하므로 맹자는 인간의 본성은 본디 선하다고 한다.
.
보고서 - 성선설과 성악설
보고서 - 성선설과 성악설
보고서 - 성선설과 성악설
레포트 - 성선설과 성악설 레포트 - 성선설과 성악설 레포트 - 성선설과 성악설 레포트 - 성선설과 성악설 레포트 - 성선설과 성악설
보고서 - 성선설과 성악설
묵자는 인간이란 먹고 입고 자는 욕망을 가진 존재라고 주장하였으며 그 욕망이란 것은 본디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으며 그저 생물학적 욕구로 채워야한다고 주장한다.” 장승구 外 『동양사상의 이해』경인文化(문화)서, 2002 pp. 50쪽 재인용.
Download : 레포트 - 성선설과 성악설.hwp( 49 )
순서
오래전부터 동양뿐만 아니라 서양에서도 인간의 본성(性)에 대한 논쟁은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지금부터 인간에 본성에 대한 많은 이론(理論)들과 그들의 상호작용, 상관관계에 상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한국철학사상 연구회『우리들의 동양철학』동녁, 1997 pp. 66쪽 참조.





2.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론(理論)
그렇다면 인간의 본성은 반드시 타고 나는 것일까? 묵자, 고자 같은 학자들은 인간의 성(性)을 어떠한 관점으로 바라 봤을까?
레포트 - 성선설과 성악설
레포트(report) - 성선설과 성악설
인의예지는 선천적인 도덕성이며, 마음은 인의예지의 발현 작용이라고 하였으며 또한 “마음을 극진히 다하는 사람은 본성을 알고, 본성을 알면 하늘을 안다. 인간을 비합리적인 존재로 보는 것은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고 하는 성악설로 드러나며,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라고 보는 학자들은 성선설을 주장한다. 혹은 다른 이들은 인간이란 서로 다른 존재이기 때문에 사람중에는 우수한 사람도 있고 열등한 사람도 있으며 이런 본성은 등급을 상,중,하로매기는 성삼품설을 주장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