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급Japan어활용] 지리, 역사(歷史), 사회문화면에 있어서 관서지방과 관동지방을 서로 비교, 기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2 14:08본문
Download : 일본 관서지방과 관동지방 비.hwp
토착인이 99.3%이고 문자 해독율은 100%이다.
이토 아비토, 임경택 역, Japan 사회 Japan 문화(동경대 특별 강좌), 소와당, 2009
1) 위치와 범위
2) 관동지방의 예술
[참고 資料]
5) 행정구역
2) 기후
이춘규, Japan에 대해 알지 못했던 것들, 강, 2009
6. 음식文化 비교
1) 위치와 범위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나카네 지에, 양현혜 역, Japan 사회의 인간관계, 소화, 2002
그리고 관동(関東, 칸토)의 ‘관(関)’은 하코네(箱根, 카나가와현神奈川県에 있는 온천 등으로 유명한 관광지)의 세키쇼(関所, 교통의 요소要所에 설치된 징세徴税와 검문検問을 위한 시설)의 ‘관(関)’라고 한다.
3) 교통
이에나가 사부로, 이영 역, Japan문화사, 까치, 1999
한국외국어대학교Japan연구소, Japan사회와 문화, 제이앤씨, 2006
Ⅴ. 사회文化 면에서 관서지방과 관동지방 비교
지리, 역사(歷史), 사회문화면에 있어서 Japan의 관서지방과 관동지방을 서로 비교, 기술하였습니다. 주요 도시로는 동경,오사카,후쿠오카,나고야,삿뽀로,교또,히로시마등이 있으며 도시화율은 77%로 매우 높다. [참고자료] 이토 아비토, 임경택 역, 일본 사회 일본 문화(동경대 특별 강좌), 소와당, 2009 나카네 지에, 양현혜 역, 일본 사회의 인간관계, 소화, 2002 한국외국어대학교일본연구소, 일본사회와 문화, 제이앤씨, 2006 이에나가 사부로, 이영 역, 일본문화사, 까치, 1999 구견서, 현대 일본사회의 이해, 한울, 2001 이춘규, 일본에 대해 알지 못했던 것들, 강, 2009 김영, 일본 문화의 이해, 제이앤씨, 2007
[중급Japan어활용] 지리, 역사(歷史), 사회문화면에 있어서 관서지방과 관동지방을 서로 비교, 기술





3. 개인성향 비교
7. 스포츠 비교
1. 관서지방(關西地方)의 지리
중급일본어활용,관동지방,관서지방,관서지방관동지방비교,관서지방관동지방비교기술,일본,일본문화,일본지리,
교토가 과거 日本(일본)의 수도이기는 하였고, 그때의 文化적 명맥이 아직도 日本(일본) 文化 깊은 곳에 남아있기는 하지만, 현재 日本(일본)의 文化적인 확립은 카마쿠라, 무로마치 시대로 해석하는 것이 대세이다. 관서(関西, 칸사이)의 ‘관(関)’은, 햐쿠닝잇슈(百人一首, 백명의 가인歌人의 노래和歌를 한 수씩 담은 가집歌集의 한 형태)에서도 불리워지고 있는 오우사카(逢坂, 쿄토京都와 시가滋賀의 현경계県境界)의 관(関)을 기준으로 이서(以西)를 관서(関西)라고 했다고 한다.
8. 여가생활 비교
2. 관서지방과 관동지방의 언어(사투리) 비교
1. 예술
오히려, 교토 주변의 지역의 상인들이 유명하다. 인구는 1억 3천 만 명으로 이 중 재일 한국인 75만등 100여 만 명의 한국인이 포함되어 있다아 1인당 GNP는 2만 3천달러로 세계3위의 선진국이다.
Ⅰ. 서 론
김영, Japan 문화의 이해, 제이앤씨, 2007
4) 경제, 산업
Ⅱ. 日本(일본)의 행정구역
Download : 일본 관서지방과 관동지방 비.hwp( 36 )
순서
2. 관동지방의 역사
Ⅵ. 결 론
2. 관동지방(關東地方)의 지리
5) 행정구역
지리, 역사, 사회문화면에 있어서 일본의 관서지방과 관동지방을 서로 비교, 기술하였습니다.
Ⅳ. 역사 면에 있어서 관서지방과 관동지방 비교
다. 平均(평균)수명은 남자 76세 여자 82세로 세계1위의 장수국가 이기도 하다. 구견서, 현대 Japan사회의 이해, 한울, 2001
[참고자료]
1) 관서지방의 예술
4) 경제, 산업
1. 관서지방의 역사
5. 상거래 비교
日本(일본)은 크게 관서지방과 관동지방으로 구분되어진다. 그리고 교토에서 수도를 옮긴지 1000년이 다되어가고 있다아 그 사이에는 과거의 번영 이외 이렇다할만한 것이 없었다. 즉, 하코네에서 이동(以東)을 관동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메이지유신 이후 천황의 거처가 교토에서 토쿄로 옮겨지기는 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쿄토가 중심지이지는 않았다.
에도시대(江戸時代), 관동을 가리켜 ‘칸핫슈(関八州)’라고 불렀고, 그 때 쓰이는 関이 하코네(箱根)의 세키쇼(関所)를 의미했다고 한다.
Ⅲ. 지리 면에서 관서지방과 관동지방 비교
日本(일본)은 4개의 큰섬(혼슈, 홋까이도, 시코쿠, 규슈)과 3천 여 개의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아 그리고 산지가 많은 산악국가로서 농경지는 전체 영토의 13%에 불과하다.
4. 취향 비교
3) 교통
한편 가마쿠라시대(鎌倉時代)에는, 에치젠(越前)의 아라치(愛発)의 관, 미노(美濃)의 후와(不破)의 관, 이세(伊勢)의 스즈카(鈴鹿)의 관 등 세 개의 세키쇼(関所)를 연결한 선을 기준으로 서쪽을 관서라고 불렀다고 한다.
Ⅰ. 서 론
2) 기후
설명
교토는 당시 정치, 文化적으로는 日本(일본) 최고였지만, 경제적으로는 그렇지도 못했다. 헤이안 시대 이후에는 천황의 정치적 실권은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일것이다 토쿄도 마찬가지이며, 에도가 정치의 중심지이기는 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경제를 휘어잡지는 못했다.
결국, 관동과 관서는, 하나의 경계를 가지고 나누는 것이 아니라, 서로 제각기 기준을 가지고 나뉘는 전혀 별개의 형태로 성립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