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산(鳳山) 탈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2 22:15본문
Download : 봉산(鳳山) 탈춤.hwp
③도막을 쳐서 먹다. 여기서는 ①②의 뜻
상통 : ‘얼굴’의 속어
무량대각(無量大角) :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힘이 셈
전령(傳令) : 명령을 알리는 증서
옜다 : ‘여기 있다’의 준말
노나 : 나누어
□ 제 7 과장
악공(樂工) : 음악을 연주하는 사람
한 거리 : 하나의 거리. ‘거리’는 무당굿의 한 장면
마모색 : 말 모양의 얼굴
소모색 : 소 모양의 얼굴
웅케눈 : 우케처럼 생긴 눈. ‘우케’는 찧기 위하여 말리는 벼
개발코 : 개발처럼 너부죽하고 몽툭하게 생긴 코
귀얄 : 풀이나 물감을 칠할 때 쓰는 솔의 하나
망 : 맷돌
고리쟁이 : 고리짝(버들로 만든 옷 담는 그릇)을 만드는 사람
시나위청 : 무악(巫樂)의 하나인 시나위 곡조
기산 영수(箕山穎水) : 기산(箕山)은 中國 고대 전설상의 은사인 소부(巢父)와 허유(許由)가 은거하던 곳으로, 요 임금이 왕위를 몰려 주려 하자 그것을 들은 허유가 귀가 더러워졌다 하여 영천수(穎川水)에 귀를 씻었다 하며, 소부는 허유가 귀를 씻은 물이 더럽다 하여 자기 소에게도 그 물을 먹이지 않았다 함
별곤건(別乾坤) : 별천지
소부허유(巢父許由) : 中國 고대의 전형적인 은사(隱士) 두 사람
채석강명월야(採石江明月夜) : 이백이 놀던 채석강의 밝은 달밤에
이적선(李謫仙) : 中國 당나라 때의 시인인 이백(李白)의 미칭(美稱)
적벽강 추야월(赤壁江 秋夜月) : 소동파의 시 ‘적벽부’에서 달밤에 뱃놀이하던 장면과 연관…(투비컨티뉴드 )
봉산(鳳山) 탈춤
거멀못 : 셋간이나 나무 그릇의 모퉁이에 걸쳐 대는 못
다. 파자(破字) : 한자의 자획을 나누거나 합하여 맞히는 수수께끼를 뜻함
%20%ED%83%88%EC%B6%A4_hwp_01.gif)
%20%ED%83%88%EC%B6%A4_hwp_02.gif)
%20%ED%83%88%EC%B6%A4_hwp_03.gif)
%20%ED%83%88%EC%B6%A4_hwp_04.gif)
%20%ED%83%88%EC%B6%A4_hwp_05.gif)
%20%ED%83%88%EC%B6%A4_hwp_06.gif)
설명
거멀못 : 셋간이나 나무 그릇의 모퉁이에 걸쳐 대는 못 파자(破字) : 한자의 자획을 나누거나 합하여 맞히는 수수께끼를 뜻함 운고옥편(韻... , 봉산(鳳山) 탈춤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운고옥편(韻...
Download : 봉산(鳳山) 탈춤.hwp( 85 )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거멀못 : 셋간이나 나무 그릇의 모퉁이에 걸쳐 대는 못
파자(破字) : 한자의 자획을 나누거나 합하여 맞히는 수수께끼를 뜻함
운고옥편(韻考玉篇) : 한자의 운자(韻字)를 분류하여 풀어 놓은 사전
용하다 : 기특하고 장하다
살피 : ①두 땅이 맞닿은 경계를 나타낸 표. ②물건과 물건 사이를 구별 지은 표. 여기서는 ①의 뜻
노랑돈 : 노란 빛깔의 엽전
잘라먹은 : ①갚을 것을 갚지 않다. ②중간에서 횡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