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4-2] 알도 레오폴드(Aldo Leopold)의 대지의 윤리(Land Ethic)에 대해 논술하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30 16:23
본문
Download : [대지의 윤리].hwp
그의 생각은 일단 대지가, 생태학에서처럼 일반 대중 사이에서도 생명 공동체로서 받아들여진다면 이에 조응하는 대지윤리가 사회적 의식 속에 저절로 싹트리라는 것이다. 보전은 인간이 토양과 물, 식물과 동물들과 함께 동료 구성원이 되며, 각 구성원은 서로를 의지하고, 각 구성원에게 자신의 몫을 차지할 자격이 부여되는 하나의 공동체에서 시민(Citizen)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때 비로소 가능해진다.
다.
① 보편적 대지관과 `생명 공동체`로서의 대지
순서
- 環境(환경)보건학과 4학년 環境(환경)보건윤리및정책 B형 참고reference(자료)입니다
환경보건윤리및정책,알도레오폴드,대지의윤리
④ 전일주의로서의 대지윤리
Download : [대지의 윤리].hwp( 83 )
- 환경보건학과 4학년 환경보건윤리및정책 B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⑥ 대지윤리와 생태학적 파시즘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다양한 reference(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⑤ 대지윤리의 역설
① 보편적 대지관과 생명 공동체로서의 대지
“대지윤리(Land Ethic) ”는 『A Sand County Almanac(샌드 카운티의 일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수필로서 주요 내용을 정리(arrangement)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그는 작가이기도 했는데, 그가 죽은 후에 출판된 『A Sand County Almanac(샌드 카운티의 일년)』은 환경운동의 가장 고전적인 저작 중의 하나이다.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대지윤리(Land Ethic) ”란 논문인데, 이것은 생태중심윤리에 대한 체계적인 최초의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아
② 윤리의 진화
![[대지의 윤리]-5047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9/%5B%EB%8C%80%EC%A7%80%EC%9D%98%20%EC%9C%A4%EB%A6%AC%5D-5047_01_.jpg)
![[대지의 윤리]-5047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9/%5B%EB%8C%80%EC%A7%80%EC%9D%98%20%EC%9C%A4%EB%A6%AC%5D-5047_02_.jpg)
![[대지의 윤리]-5047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9/%5B%EB%8C%80%EC%A7%80%EC%9D%98%20%EC%9C%A4%EB%A6%AC%5D-5047_03_.jpg)
![[대지의 윤리]-5047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9/%5B%EB%8C%80%EC%A7%80%EC%9D%98%20%EC%9C%A4%EB%A6%AC%5D-5047_04_.jpg)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4-2] 알도 레오폴드(Aldo Leopold)의 대지의 윤리(Land Ethic)에 대해 논술하시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보전이란 인류에게 정복자의 역할이 맡겨지고 대지는 그 노예나 하인의 역할을 담당하는 한 하나의 몽상일 뿐이다. 그러나 우리가 대지를 다른 동식물, 토양, 물 등과 함께 살아가는 생명공동체로 바라보고, 우리 인간은 장구한 진화의 과정을 함께 해온 다른 동료 생물들과 평등한, 그 공동체의 평범한 시민(Citizen) 혹은 구성원임을 자각한다면, 우리는 대지를 사랑과 존중으로써 대하게 될 것이다. 이렇듯, 레오폴드가“대지윤리(Land Ethic) ”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대지는 하나의 공동체라는 것이다. 그의 생각에 대지가 남용되는 까닭은 바로 우리가 대지를 그렇게 보기 때문이다.
③ 진화론적 가능성이자 생태학적 필연성으로서의 대지윤리
레오폴드(A. Leopold)(1887 ~ 1948)는 생태 중심 환경윤리의 발전에서 가장 influence력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아 그의 일생의 작업은 생태학과 윤리학을 통합하는 것이었다.
레오폴드가 『A Sand County Almanac(샌드 카운티의 일년)』과 “대지윤리(Land Ethic) ”에서 문제 삼고 있는 당시의―오늘날도 마찬가지만―보편적 대지관은 정복자로서의 인간이 경제적 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해 소유한 상품으로서의 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