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정암(靜庵) 조광조의 생애와 사상 /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1482 15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7 07:41본문
Download : 정암(靜庵) 조광조의 생애와 사상.hwp
양열공의 아들 온은 선생의 고조인데 비록 청백한 고절이 있으면서도 국초에 혁명으 주체인으로 청백에 자처하지 않았다.
순서
Download : 정암(靜庵) 조광조의 생애와 사상.hwp( 27 )
%20%EC%A1%B0%EA%B4%91%EC%A1%B0%EC%9D%98%20%EC%83%9D%EC%95%A0%EC%99%80%20%EC%82%AC%EC%83%81-6088_01_.gif../prev/200812/%EC%A0%95%EC%95%94(%E9%9D%9C%E5%BA%B5)%20%EC%A1%B0%EA%B4%91%EC%A1%B0%EC%9D%98%20%EC%83%9D%EC%95%A0%EC%99%80%20%EC%82%AC%EC%83%81-6088_02_.gif../prev/200812/%EC%A0%95%EC%95%94(%E9%9D%9C%E5%BA%B5)%20%EC%A1%B0%EA%B4%91%EC%A1%B0%EC%9D%98%20%EC%83%9D%EC%95%A0%EC%99%80%20%EC%82%AC%EC%83%81-6088_03_.gif../prev/200812/%EC%A0%95%EC%95%94(%E9%9D%9C%E5%BA%B5)%20%EC%A1%B0%EA%B4%91%EC%A1%B0%EC%9D%98%20%EC%83%9D%EC%95%A0%EC%99%80%20%EC%82%AC%EC%83%81-6088_04_.gif../prev/200812/%EC%A0%95%EC%95%94(%E9%9D%9C%E5%BA%B5)%20%EC%A1%B0%EA%B4%91%EC%A1%B0%EC%9D%98%20%EC%83%9D%EC%95%A0%EC%99%80%20%EC%82%AC%EC%83%81-6088_05_.gif)
[인문사회] 정암(靜庵) 조광조의 생애와 사상 /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1482 15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1482-1519)의 생애와 사상 유교철학과 2학년 9600043 김정우 목차.생애 ------------------------------1-3.저술 ------------------------------3-4 .사상 ------------------------------4-9.influence ------------------------------10-11.유적 ------------------------------11-12.서지사항 --------------------------12-14 .생애 -조광조는 조선 중종때의 대표적인 도학자이다. 양절공의 청백은 그으 시호를 보아도 족히 증명이 된다 즉 “시호를 ‘양절이라 내렸는데 시호법에 온화하고 어질고 낙을 좋아하며 청렴하여 스스로 극복한다’는 것을 이름이다”라고 세보에 보여주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후손 문절공(文節公) 원기(元紀)는 정암의 숙부이기도 한데, 한양 조씨 최초의 족보를 편찬하면서 서문에 이르기를, ...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1482-1519)의 생애와 사상 유교철학과 ...
인문사회 정암靜庵 조광조의 생애와 사상 /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1482 15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1482-1519)의 생애와 사상 유교철학과 ...
다. 자는 효직(孝直), 호는 정암(靜庵)이며 본관은 한양(漢陽)이다. 조원강(趙元鋼)의 아들로 태어났다. 우선 그의 가문을 알아보자. 정암은 한양인인데, 그 상세선계(上世先系)의 공열은 그만두고서도 5대조 인벽(仁璧)은 처남인 태조가 혁명하고 삼징칠벽(三徵七 )하였건만 끝내 불사이군의 의를 지켜서 나서지 아니하고 양양으로 피신하여 자질과 후학을 가르치면서 수절하여 지금까지 그곳에 공을 모신 동명서원(東溟書院)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