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2학기 사회복지정의론 출석수업대체시험 처리해야할문제물(한국의 현실에서 의대정원증대 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5 22:15
본문
Download : 20202출석_사회3_사회복지정의론.zip
고대안암병원과 서울대병원이 제공하는 의료 모두 政府(정부)가 정한 수가를 받고 건강insurance공단이 진료비를 지불한다. 政府(정부)가 공공의대 신설 계획을 발표한 이후 전라도와 경상도 등에서는 지자체가 중심이 돼 신설 의대 유치 운동이 일었다. 한국에는 사실상 민영의료가 없는 것이다.
II. 본 론
방송통신 > 출석수업대체시험
이 레포트는 한국의 현실에서 의대정원증대와 국립공공병원 설립은 정의(定義)로운가에 대해 서술하였다.
사회복지정의론,방통대사회복지정의론,방송대사회복지정의론,사회복지정의론과제물,사회복지정의론과제,사회복지정의론출석수업대체
<문제 3> 한국의 현실에서 의대정원증대와 국립공공병원 설립은 정의로운가?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의대정원증대와 국립공공병원 설립 2. 정의관점에서 본 의대정원증대와 국립공공병원 설립 III. 결 론 참고문헌
2020년 2학기 사회복지정의론 출석수업대체시험 처리해야할문제물(한국의 현실에서 의대정원증대 등)
政府(정부)가 정해주는 수가로 생산하고 건강insurance에서 심사하기 때문에, 민간인지 공공인지 의료 제공 주체를 따질 게 아닌 누가 효율적으로 의료를 생산하는지를 봐야 한다. 독일과 네덜란드 같은 유럽 국가는 민간병원의료도 건강insurance에서 제공하면 전부 공공의료로 간주하고, 政府(정부) 지원도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간에 discrimination을 두지 않는다.
설명
II. 본 론
1. 의대정원증대와 국립공공병원 설립
2. 정의관점에서 본 의대정원증대와 국립공공병원 설립
다.
순서
III. 결 론
I. 서 론
- 목 차 -
Download : 20202출석_사회3_사회복지정의론.zip( 99 )
I. 서 론
<문제 3> 한국의 현실에서 의대정원증대와 국립공공병원 설립은 정의로운가?
한국도 2012년에 법률을 개정해 ‘공공보건의료기관’이 아닌 ‘보건의료기관’이 생산하는 의료로 공공의료를 재정의(定義)했다. 따라서 건강insurance의료가 공공의료가 되고, 국민건강insurance법에 의해 의료를 공급하는 민간병원도 공공의료생산자가 된다된다.
전국민을 의료보장하는 국가에서 공공의료를 별도로 정의(定義)하는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서지사항
1. 의대정원증대와 국립공공병원 설립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는 공공보건의료를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보건의료기관이 지역·계층·분야와 관계없이 국민의 보편적인 의료 이용을 보장하고 건강을 보호ㆍ증진하는 모든 활동’으로 정의(定義)하고 있다 현재 전 국민의 의료 이용을 보장하는 것은 건강insurance의료가 유일하다.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을 제정한 2000년 당시 외국의 사정에 어두워 공공의료를 공공보건의료기관이 생산하는 의료로 잘못 이해했기 때문일것이다

- 중략 -
1) 의대정원증대와 국립공공병원 설립
政府(정부)가 의대 정원 증원과 공공의대 신설을 포함한 ‘4대 의료정책’을 발표한 가운데 논쟁이 뜨겁다. 인력 충원과 공공의료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제기되며 학계에서도 여러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전국에서 의과대학 신설 바람이 불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의사인력 부족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면서 지역 의대 신설은 당연한 ‘명제’가 돼버린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