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2014-2>항상소득이론과 생애주기이론에 관하여 說明(설명) 하고, 그 정책적 함의와 문제점에 관하여 說…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04 19:38
본문
Download : [기초거시경제론]항상 소득이론과 생애.docx
기초거시경제론,항상소득이론,생애주기이론,정책적함의
1. 항상 소득 理論이란 ?
순서
이러한 理論에 의하면, 사람들은 소비를 일정한 수준에서 유지하고 싶어한다.
![[기초거시경제론]항상 소득이론과 생애-2017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9/%5B%EA%B8%B0%EC%B4%88%EA%B1%B0%EC%8B%9C%EA%B2%BD%EC%A0%9C%EB%A1%A0%5D%ED%95%AD%EC%83%81%20%EC%86%8C%EB%93%9D%EC%9D%B4%EB%A1%A0%EA%B3%BC%20%EC%83%9D%EC%95%A0-2017_01_.jpg)
![[기초거시경제론]항상 소득이론과 생애-2017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9/%5B%EA%B8%B0%EC%B4%88%EA%B1%B0%EC%8B%9C%EA%B2%BD%EC%A0%9C%EB%A1%A0%5D%ED%95%AD%EC%83%81%20%EC%86%8C%EB%93%9D%EC%9D%B4%EB%A1%A0%EA%B3%BC%20%EC%83%9D%EC%95%A0-2017_02_.jpg)
![[기초거시경제론]항상 소득이론과 생애-2017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9/%5B%EA%B8%B0%EC%B4%88%EA%B1%B0%EC%8B%9C%EA%B2%BD%EC%A0%9C%EB%A1%A0%5D%ED%95%AD%EC%83%81%20%EC%86%8C%EB%93%9D%EC%9D%B4%EB%A1%A0%EA%B3%BC%20%EC%83%9D%EC%95%A0-2017_03_.jpg)
![[기초거시경제론]항상 소득이론과 생애-2017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9/%5B%EA%B8%B0%EC%B4%88%EA%B1%B0%EC%8B%9C%EA%B2%BD%EC%A0%9C%EB%A1%A0%5D%ED%95%AD%EC%83%81%20%EC%86%8C%EB%93%9D%EC%9D%B4%EB%A1%A0%EA%B3%BC%20%EC%83%9D%EC%95%A0-2017_04_.jpg)
![[기초거시경제론]항상 소득이론과 생애-2017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9/%5B%EA%B8%B0%EC%B4%88%EA%B1%B0%EC%8B%9C%EA%B2%BD%EC%A0%9C%EB%A1%A0%5D%ED%95%AD%EC%83%81%20%EC%86%8C%EB%93%9D%EC%9D%B4%EB%A1%A0%EA%B3%BC%20%EC%83%9D%EC%95%A0-2017_05_.jpg)
경제에서 소비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이고 그 요인과 소비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것을 다루는 理論이 소비理論이다.
<방통대 2014-2>항상소득이론과 생애주기이론에 관하여 說明(설명) 하고, 그 정책적 함의와 문제점에 관하여 說明(설명) 하시오
3. 함의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2. 생애 주기 理論이란
Download : [기초거시경제론]항상 소득이론과 생애.docx( 55 )
1. 항상 소득 理論이란 ?
- 경영학과 1학년 기초거시경제론 C형 참고자료(資料)입니다
항상 소득 理論에 의하면, 한 사람이 얻는 소득은 항상 소득과 일시 소득으로 구분된다 항상 소득은 일생에 걸친 mean or average(평균) 적 소득이라는 뜻이며 일시 소득은 일시적인 여건으로 인해 생기는 소득을 뜻한다. 예를 들면 경기가 좋아지면 사람들의 소득은 보통때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처분 가능 소득이 變化가 생겼을 때 이것이 항상 소득의 變化에 effect을 미치 지는지 아니면 일시 소득의 變化를 뜻하는지에 따라 소비자의 reaction response이 달리 나타날 것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불황기에 일시적으로 소득이 줄면 소비자는 미래에 얻을 소득을 기대하고 돈을 빌려 비슷한 소비수준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자신의 소비수준은 항상소득들을 감안하여 결정한다는 것이다. 수많은 경제 理論들 중에서 케인즈의 소비理論의 문제가되는점 의 한계를 극복하려의 의도에서 제기된 것이 항상 소득理論과 생애주기 理論이다. 보통 때의 소득이 항상소득에 해당한다면, 경기가 좋아 생긴 추가적소득이 일시소득이 된다 따라서 실제 소득이 보통때보다 더 높은 호황기에는 일시소득이 Plus(+)값을 갖고 반대로 소득이 줄어 드는 불황기에는 minus(-) 값을 갖는다.
- 경영학과 1학년 기초거시경제론 C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따라 소비를 크게 줄이거나 늘리거나 하지 않는다는 것이 항상소득理論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소비를 일정한 수준에 유지하려는 태도를 갖고있기 때문에 일시적 소득의 변동에
- 다양한 자료(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4. 문제가되는점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설명
또한 항상 소득과 관련된 한계소비성향이 매우 큰 반면 일시소득과 관련된 한계소비성향은 훨씬 적다는 것이다. 그러나 호황기에는 잠깐 소득이 증가하면 그것을 전부 소비하지 않고 일부를 저축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항상 소득理論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