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기대 철학개론 기말 족보.hwp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7 07:58본문
Download : 산기대 철학개론 기말 족보.hwp
여기서 개념(槪念)은 명사(term)인데 이는 noun과는 다르다. 논증이란 ‘명제+명제’이고 명제는 ‘개념(槪念)+개념(槪念)’이다. 선입견은 형식상 타당하지만 건전치 못할 수 있으니 조심해야 된다
여기서 다루고 있는 ‘형식 논리학’에서 논증은 크…(drop)






설명
Download : 산기대 철학개론 기말 족보.hwp( 39 )
시험족보/기타
산기대 철학개론 기말 족보.hwp
다.
‘명제’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로 정언명제는 S is P 형태이고, 두 번째로 가언 명제는 if S is P then S is P의 형태이다. 이 전제와 결론이 형식적으로 올바르게 형성되어 있으면 타당한 논증이라고 하고, 타당한 논증이면서 각 명제의 내용도 참이면 건전한 논증이라고 한다. 세 번째로 선언 명제는 S is P or Q의 형태이다. 예를 들어서 ‘사람은 죽는다’라는 명제에서 사람은 죽는다에 비해서 특수하다. 주어는 술어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특수자이고, 술어는 주어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보편자이다. logos의 뜻은 ‘1.말 2.생각, 사고, 이성 3.법칙,(수학)비례’이다. 2형식 문장의 s와 c에 들어갈 수 있는 모든 것들이 개념(槪念)이 될 수 있다 개념(槪念)의 종류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하나의 대상을 지시하는 이름(고유명사), 다수의 대상을 지시하는 이름(일반명사), 하나/다수의 대상을 지시하는 구, 대상의 성질이나 정황을 지시하는 이름.
명제의 주어는 주사 혹은 紹介념(槪念), 소명자라고 하고, 술어는 빈사, 대개념(槪念), 대(大 )명사라고 한다.
논증은 추론 혹은 추리라고도 하고, 전제 역할의 명제와 결론 역할의 명제가 결합한 형태이다.
산기대 철학개론 기말 족보.hwp , 산기대 철학개론 기말 족보.hwp기타시험족보 , 산기대 철학개론 기말 족보 hwp
순서
산기대 철학개론 기말 족보.hwp
산기대,철학개론,기말,족보,hwp,기타,시험족보
1.
(1)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논리학에 해당하는 logic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logos이다. ‘말’(사고)의 규칙을 다루는 학문이라는 뜻이 logic에 내포되어 있다 논리학이란 사고의 형식적 규칙과 절차에 관심을 가지고, 정확한 논증과 부정확한 논증을 구분해 주는 방법과 원리를 다루는 학문이다.
논리학에서 내용과는 상관없이 형식적 규칙에 맞는 논증은 타당한 논증이라고 하고 형식적 규칙에 맞지 않는 논증을 부당한 논증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