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시] D H Lawrence의 SNAKE 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2 03:28본문
Download : [영미시] D H Lawrence의 SNAKE 분석.hwp
그 밖에 죽기 직전에 쓴, 몹시 그리스도교적이나 표면적으로는 반(反)그리스도교적이고 생명주의 책인 《아폴카리프스》, 그리고 마찬가지로 그리스도교적인 생명주의 소설인 《죽은 사나이(1931)》, 뛰어난 통찰력으로 쓴 《아메리카 고전문학연구(1923)》, 《보라, 우리는 해냈다(1917)》 《죽음의 배(1933)》 등의 시집이 있다아
[영미시] D.H Lawrence의 SNAKE 分析
7쪽
목차
[영미시] D H Lawrence의 SNAKE 분석
3. <해석>
레포트 > 기타
1. David Herbert Lawrence(1885~1930)
Download : [영미시] D H Lawrence의 SNAKE 분석.hwp( 35 )
다. 1914년 귀국하여 프리다와 결혼한 후, 제1차세계대전 중 아내가 독일인이었기 때문에 스파이 혐의를 받게 되어 작품 《무지개(The Rainbow, 1915)》가 판매금지되었다. 그는 성(性)의 의의를 중시하여 노골적으로 대담하게 취급했으며, 한편 진지한 문명비평가로 일종의 예언자적 열정을 보여 오해를 받는 일이 많았다.
설명
[영미시] D H Lawrence의 SNAKE 분석
D H Lawrence의 SNAKE 분석
[영미시] D H Lawrence의 SNAKE 분석
4. 시 해설 및 감상
순서
1. David Herbert Lawrence(1885~1930)
![[영미시] D H Lawrence의 SNAKE 분석-5008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8%81%EB%AF%B8%EC%8B%9C%5D%20D%20H%20Lawrence%EC%9D%98%20SNAKE%20%EB%B6%84%EC%84%9D-5008_01_.gif)
![[영미시] D H Lawrence의 SNAKE 분석-5008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8%81%EB%AF%B8%EC%8B%9C%5D%20D%20H%20Lawrence%EC%9D%98%20SNAKE%20%EB%B6%84%EC%84%9D-5008_02_.gif)
![[영미시] D H Lawrence의 SNAKE 분석-5008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8%81%EB%AF%B8%EC%8B%9C%5D%20D%20H%20Lawrence%EC%9D%98%20SNAKE%20%EB%B6%84%EC%84%9D-5008_03_.gif)
![[영미시] D H Lawrence의 SNAKE 분석-5008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8%81%EB%AF%B8%EC%8B%9C%5D%20D%20H%20Lawrence%EC%9D%98%20SNAKE%20%EB%B6%84%EC%84%9D-5008_04_.gif)
![[영미시] D H Lawrence의 SNAKE 분석-5008_05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8%81%EB%AF%B8%EC%8B%9C%5D%20D%20H%20Lawrence%EC%9D%98%20SNAKE%20%EB%B6%84%EC%84%9D-5008_05_.gif)
2. 원문
영국 소설가·시인. 노팅엄셔주(州)의 이스트우드 출생. 광산촌에서 태어 났으나 어머니의 보살핌으로 광부를 면하고 고학으로 노팅엄대학을 졸 업, 교사가 되었다. 여기에서 《아들과 연인들(Sons and Lovers, 1913)》을 출간했는데, 그는 이 작품에서 고향을 떠나기까지의 소년시절의 생활 을 잘 묘사하였다. 작품 중 전쟁으로 불구가 된 남편을 가진 귀부인과 산지기와의 성적 행위를 상세히 그린 《채털리부인의 사랑(Lady Chatterley`s Lover, 1928)》은 크게 물의를 일으켜 음란한 소설이란 비난도 받았다. 전후 주로 유럽 각지와 미국 등에 머물렀으며, 니스 근방의 방스에서 폐결핵으로 요양 중 사망하였다. 재학 중에는 처녀작인 《백공작(白孔雀;The White Peacock, 1911)》을 출판하였고, 스승의 아내이며 M.V.F. 리 흐트호펜의 누이동생인 W. 프리다와 함께 프리다의 고향인 독일로 도 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