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이론과 자아관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18 06:23본문
Download : 성격이론과 자아개념.hwp
전체 7부로 구성된 이 심포지움의 제3부의 논제는 `자아와 성격 -인본주의 및 행동주의적 관점`이었다.




성격theory(이론)과 자아concept(개념)
1976년 미국의 코넬대학에서 개최된 `성격變化(변화)에 대한 행동주의적 및 인본주의적 입장(Behavioristic and Humanistic Approaches to Personality Change)`이라는 제하의 심포지엄은 성격과 심리치료에 대한 (1) 양자의 입장과 논쟁의 요점을 명백히 하고, (2) 각 방식의 강점과 약점을 평가하며, (3) 새롭고 유용한 통합을 발전시키기 위해 각 방식의 부분적인 합일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등 발전적인 의견 교환이 오고 간 학술회의였다. 이 심포지움을 요점하여 책으로 발간한 Wandersman 등(1976, 최정훈 안범희 역, 1985)은 서문에서 자아에 대한 논점이 제3부로 등장한 배경을 다음과 같이 설명(explanation)하고 있다
인본주의와 행동주의 사이의 논쟁 및 잘못 이해되는 것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인간을 보...
성격theory(이론)과 자아concept(개념)
1976년 미국의 코넬대학에서 개최된 `성격變化(변화)에 대한 행동주의적 및 인본주의적 입장(Behavioristic and Humanistic Approaches to Personality Change)`이라는 제하의 심포지엄은 성격과 심리치료에 대한 (1) 양자의 입장과 논쟁의 요점을 명백히 하고, (2) 각 방식의 강점과 약점을 평가하며, (3) 새롭고 유용한 통합을 발전시키기 위해 각 방식의 부분적인 합일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등 발전적인 의견 교환이 오고 간 학술회의였다.
전체 7부로 구성된 이 심포지움의 제3부의 논제는 `자아와 성격 -인본주의 및 행동주의적 관점`이었다. 이 심포지움을 요점하여 책으로 발간한 Wandersman 등(1976, 최정훈 안범희 역, 1985)은 서문에서 자아에 대한 논점이 제3부로 등장한 배경을 다음과 같이 설명(explanation)하고 있다
인본주의와 행동주의 사이의 논쟁 및 잘못 이해되는 것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인간을 보는 관점에서의 차이이다. 우리는 인본주의와 행동주의 간의 대화를 고무시키기 위해 행동주의 theory(이론)가인 Mischel과 인본주의 theory(이론)가인 Rychlak를 등단시켰는데, 이들은 자아에 대한 그들의 관점을 기술함에 있어서나 양자 간의 공통점 및 상반되는 점을 토론함에 있어서 그들의 위치가 극단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기보다는 발전적, 창조적 입장에 있는 저자들이다(p. iii).
심리학에서 자아라는 concept(개념)이 필요 내지는 유용한 것인가 이 논점은 오랫동안 심리학자들 사이에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에 비해 성격심리학에 근거를 둔 일…(투비컨티뉴드 )
성격이론과 자아관념
Download : 성격이론과 자아개념.hwp( 52 )
순서
성격이론과 자아개념 , 성격이론과 자아개념기타레포트 , 성격이론과 자아개념
성격이론과,자아개념,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성격이론과 자아관념
설명
다. 대체적으로 보아 experiment(실험)심리학에 근거를 둔 사람들은 `자아(self)`를 심하게는 신비주의적이고 종교적인 것으로 간주하거나, 고작 인정한다는 것이 부수현상(epiphenomenon) 정도로 격하시키는 경향을 보여 왔다. 이는 자아에 대한 정의(定義) 및 인간이 능동적인 존재냐 수동적인 존재냐 하는 문제, 그리고 인간이 자유의지를 지닌 존재냐 아니냐 하는 문제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