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연변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5 00:01본문
Download : 돌연변이_2106702.hwp
이 유전암호의 단위를 코돈(codon)이라고 하며, 각각 특정 아미노산을 지정한다. A는 항상 T와 결합하며, G는 언제나 C와 쌍을 이루기 때문에 2가닥의 염기서열은 상보적(相補的)이 된다
염기의 배열이 한 생명체의 유전암호를 결정하며 이 유전암호가 세포수준의 단백질 합성을 지시한다. [생명과학]돌연변이에 , 돌연변이자연과학레포트 ,
설명
,자연과학,레포트
1. 돌연변이의 정이 - 자손에게 전달되는 세포 유전물질의 變化(변화).
돌연변이는 자연발생적(유전물질의 복제과정에서 우연히 생김)으로, 또는 전자기(電磁氣) 방사선이나 화학물질 등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하나의 코돈은 GAG, TCA와 같이 3개의 염기로 이루어져 있다아 4개의 염기는 64가지의 코돈을 조합할 수 있는데, 단백질은 단지 20종류의 아미노산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부분의 아미노산은 1개 이상의 코돈을 가진다.
돌연변이는 긴 사슬형의 디옥시리보핵산(DNA) 분자에 있는 유전자에서 일어난다. DNA 사슬의 뼈대는 당과 인산의 반복으로 이루어지며 아데닌(A)·티민(T)·구아닌(G)·시토신(C)의 4가지 염기가 당에 결합되어 있다아 구조적으로 각 DNA 분자는 한쪽 사슬의 염기가 다른쪽 사슬의 염기와 결합함으로써 2가닥이 나선구조를 이룬다.
순서
다.
돌연변이에 대한 자료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고등…(To be continued )






[생명과학]돌연변이에
Download : 돌연변이_2106702.hwp( 87 )
돌연변이
레포트/자연과학
돌연변이에 대한 자료(資料)입니다. 돌연변이는 1개의 염기가 다른 염기로 치환되거나, 1개 또는 그 이상의 염기가 유전자에 삽입 또는 결실되어 일어난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유전암호의 여분 때문일것이다 왜냐하면 많은 코돈이 같은 의미를 가지므로 코돈이 달라졌더라도 같은 아미노산을 지정할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더욱이 치환돌연변이가 발생하여 단백질에서 원래와는 다른 종류의 아미노산이 삽입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아미노산의 치환이 단백질의 기능에는 influence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아 대부분의 단백질은 여러 아미노산들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아미노산 사슬 중 아미노산 1개의 變化(변화)는 그 단백질의 생물학적 特性에는 거의 influence을 주지 않는다. 치환돌연변이는 단지 1개의 코돈에만 變化(변화)를 주기 때문에 그 效果(효과)는 미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