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본성의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0 02:25
본문
Download : 인간 본성의 문제.hwp
” 이철승 「유가 철학에 나타난 인간 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 의미-성선설과 성악설의 구조와 의미를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제36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년 2월 6일, p393 인용
인간 본성의 문제 인간 본성의 문제 인간 본성의 문제 인간 본성의 문제 인간 본성의 문제 인간 본성의 문제
.
인간 본성의 문제
.
고자는 고여 있는 물은 물길이 트인 대로 흐르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물을 동서로 나눌 수 없는 것과 같이 인간의 본성 또한 선(善)과 불선(不善)으로 나눌 수 없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맹자가 제시한 성선설은 인간의 본성은 자연적인 본능 부분이 아니며, 인간과 동물이 구분되는 기준은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도덕성을 갖고 있느냐의 여부라고 생각하였다. 이철승 「유가 철학에 나타난 인간 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 의미-성선설과 성악설의 구조와 의미를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제36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년 2월 6일, p397 참조
2. 성선설
인간 본성의 문제
인간 본성의 문제
고자는 인간의 본성은 자연적인 욕망 부분에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래부터 ‘선(善)’과 관계가 없으며, ‘선’이나 ‘악’과 같은 관념은 처음부터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文化(culture) 를 형성해 가면서 갖게 되는 후천적인 하나의 가치일 뿐이라고 생각했다.” 장원태 「告子의 性無善無惡說을 중심으로 본 仁內義外 논변」, 『규장각』, 규장각, 2002년 12월, p249 인용
Download : 인간 본성의 문제.hwp( 78 )
설명
.
인간 본성의 문제
인간 본성의 문제
인간 본성의 문제
“맹자는 이와 같이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본래적으로 갖게 되는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을 인(仁)의 단서로 여김과 아울러 인간의 본질적인 부분으로 생각했다. 이것은 본래부터 갖추어진 도덕성을 현실 사회에 실현하기를 요구하는 이론(理論)으로 전국 시대 맹자에 의해 체계를 갖춘 후, 내면적인 인격 수양을 강조하는 성리학과 양명학 등 이후의 유가철학에 effect을 미쳤다. 인간 본성의 문제
순서
대부분의 사람이 잘 못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성선설이 단지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선하다는 이론(理論)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이론(理論)은 오늘날 인간에 대한 다양한 가치 사이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effect을 미치고 있다. 맹자는 인간에게는 이러한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뿐만 아니라, 의(義)의 단서인 잘못을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과 예(禮)의 단서인 사양하
“성선설은 인간의 본성을 생물학적인 본능이 배제된 본래부터 갖추어진 도덕성으로 여기는 이론(理論)이다. 이철승 「유가 철학에 나타난 인간 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 의미-성선설과 성악설의 구조와 의미를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제36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년 2월 6일, p398 참조
다. 이철승 「유가 철학에 나타난 인간 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 의미-성선설과 성악설의 구조와 의미를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제36집, 동양철학연구회, 2004년 2월 6일, p394 참조
인간 본성의 문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인간 본성의 문제
“告子는 인간의 본성을 선악이 배어 있지 않은 것으로 규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