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파와 미소진폭파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하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1 12:04본문
Download : 설계파와 미소진폭파에 대해 설명하시오.hwp
실제의 구조물에는 굴절, 회절, 천수effect(영향) 및 쇄파 등을 거쳐서 도달한 파랑이 작용하고, 구조물의 방향에 따라 다르므로 수많은 경우가 있따 구조물을 설계할 때는 구조물에 가장 큰 파력이 작용하는 파고와 파향을 택해야 한다. 설계파의 기본적 결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설계파에는 유의파를 택하는 경우가 많다.
2)기상 에서 구한 추산치를 실측 로 보정할 경우, 실측 는 태풍 또는 계절풍 등에 의해 큰 파가 발생한 를 포함해야 한다.
8)설계 심해파는 재현기간과 구조물의 내용년수에 입각한 발생활률에서 구하는 것이 바…(省略)
설계파와 미소진폭파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하시오



설계파와 미소진폭파에 대해 설명하시오 , 설계파와 미소진폭파에 대해 설명하시오기타레포트 , 설계파와 미소진폭파 대해 설명하시오
다. 이때 파향의 alteration(변화) 를 고려해야 한다. 설계에 사용하는 파랑의 제원은 파고, 파장, 주기 및 파향등이다. 각 항만마다 설계파를 정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심해파를 설계파로 하고 있따 한 항만에 있어서도 구조물전면수역의 수심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심해파를 설계파로 하지 않으면 여러개의 설계파를 절해야 하므로 불편하다.
6)실측 를 이용해서 심해파를 추정할 경우 실측파고는 파의 굴절이나 천수변형 등의 effect(영향) 을 받고 있기 때문에 파의 굴절계수 및 천수계수 등을 제외하고 심해파로 환산한다.
7)실측치의 유의파고가 실측지점 수심의 0.5배 이상 일 때는 쇄파의 effect(영향) 을 고려해야 한다.
1)실측 로서는 10년 이상의 가 바람직하지만 실측 가 없는 경우에는 30년 이상의 기상 를 이용하여 추산치를 구하고 이를 실측치와 보정하여 사용한다.레포트/기타
설계파와,미소진폭파,대해,설명하시오,기타,레포트
설명
순서
Download : 설계파와 미소진폭파에 대해 설명하시오.hwp( 70 )
설계파와 미소진폭파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하시오
설계파와 미소진폭파에 대해 說明(설명) 하시오
설 계 파
1. 설계파
방파제 등 항만 구조물을 설계할 때 사용하는 파랑을 설계파라고 한다.
3)현지실측 가 전혀 없는 경우 또는 매우 한정된 조건의 경우에는 자연조건이 닮은 인접지역의 실측 를 참고로 하여 구할 수 있따
4)기상 에 의한 추산기간 이외에도 특이한 기록이 있는 경우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따
5)기상태풍에 의한 추산치를 쓰는 경우에는 과거의 태풍규모, 태풍의 경로등을 충분히 검토하고 발생확률까지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