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ce.kr 법학] 법률행위의 목적(내용) > price6 | price.kr report

법학] 법률행위의 목적(내용) > price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rice6

법학] 법률행위의 목적(내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25 20:05

본문




Download : [법학] 법률행위의 목적2.hwp




설명




법률행위의 목적(내용)
Ⅰ. 목적(내용)의 가능
1. 목적의 실현이 가능하냐의 여부는 사회통념에 따라 정해진다.
Ⅱ. 목적(내용)의 적법




공서양속




제103조(일반원칙)




법규




강행규정
(계약자유의 한계)


효력규정



개별규정







정책목적??토지거래허가제,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관한법률 등


단속규정??행정법규,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 등

임의규정(계약자유의 원칙)


Ⅲ. 목적(내용)의 확정[법률행위의 해석]
법률행위의 내용은 확정되어 있거나, 확정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1. 법률행위(法律行爲)의 해석(解釋)의 의의
법률행위의 해석이란 의사표시의 내용이 불명료할 때 그것을 명확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내용을 확정할 수 없는 법률행위는 무효이다.
2. 법률행위의 해석의 대상
(1) 의사주의 
(2) 표시주의 
(3) 절충주의(折衷主義)…(drop)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법학] 법률행위의 목적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다.
2. 민법총칙은 목적의 가능에 관하여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key point(핵심) 정리(整理) 』 ① 법률행위의 해석은 법률문제로서 상고심의 대상이 된다
② 법률행위의 내용은 성립 당시에 확정되어 있지 않아도 해석을 통해 확정가능하면 법률행위는 유효하다.
3. 종류물인 단계에서는 불능이 생기지 않는다. , 법학] 법률행위의 목적(내용)법학행정레포트 , 법학] 법률행위의 목적(내용)



법학] 법률행위의 목적(내용)




[법학]%20법률행위의%20목적2_hwp_01.gif [법학]%20법률행위의%20목적2_hwp_02.gif [법학]%20법률행위의%20목적2_hwp_03.gif [법학]%20법률행위의%20목적2_hwp_04.gif [법학]%20법률행위의%20목적2_hwp_05.gif

Download : [법학] 법률행위의 목적2.hwp( 25 )





법학],법률행위의,목적(내용),법학행정,레포트
[법학] 법률행위의 목적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4. 원시적 불능과 후발적 불능

불능



원시적불능

객관적
불능


전부불능-무효??계약체결상 과실책임(제535조)
일부불능??① 담보책임(제574조), ② 일부무효(제137조)




주관적
불능

전부불능??담보책임(제570조)
일부불능??담보책임(제572조)




후발적불능(유효)


위험부담(귀책사유가 없을 때)??채무자주의(제537조)
이행불능(귀책사유가 있을 때)??해제(제546조), 손해배상청구권(제390조)




[참고] 통상적으로 원시적?객관적?전부불능을 원시적 불능이라고 한다.
전체 19,45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rice.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