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과 한글창제,훈민정음 창제 과정,훈민정음 반포 과정,문자 창제의 피료썽,집현전 직제정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17 03:44본문
Download : 세종대왕과 한글창제,훈민정음 창제 과정,훈민정음 반포 과정,문자 창제의 필요성,집현전 직제정비.pptx
Download : 세종대왕과 한글창제,훈민정음 창제 과정,훈민정음 반포 과정,문자 창제의 필요성,집현전 직제정비.pptx( 31 )
세종대왕과 한글창제,훈민정음 창제 과정,훈민정음 반포 과정,문자 창제의 피료썽,집현전 직제정비
세종대왕과 한글창제,훈민정음 창제 과정,훈민정음 반포 과정,문자 창제의 피료썽,집현전 직제정비
세종대왕과,한글창제,훈민정음,창제,과정,훈민정음,반포,과정,문자,창제의,필요성,집현전,직제정비,법학행정,레포트
순서
_SLIDE_1_
세종대왕과 한글창제
_SLIDE_2_
次例(차례)
_SLIDE_3_
세 종 대 왕
이도(李), 조선 4대 왕
1397~1450, 재위 1418~1450
애민정신
신권과 왕권이 조화된 유교적 왕도정치
외교
4군 6진, 김종서
日本 에 대한 강경책과 회유책
과학적 성과
천문대와 천문관측기계
:석축간의계, 혼천의
해시계, 물시계
측우기, 도량형 일치
_SLIDE_4_
호학(好學)의 군주
- 유학, 歷史(역사), 법학, 의학, 천문, 음악 등 다방면에 관심을 두었음.
- 집현전 설치
- 편찬사업 : 농사직설, 팔도지리지, 향약집성방, 칠정산내외편, 훈민정음 등..
1450년 2월 54세, 붕어
세 종 대 왕
_SLIDE_5_
한글창제 이전의 상황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
- 나라의 말과 소리가 china(중국) 과 달라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세종대왕실록
- 어리석은 백성이 알지 못할까 염려하여 그림을 붙였으나... 다만 백성들이 문자를 알지 못해 책을 나누어 주어도 남이 가르쳐 주지 않으면 어찌 그 뜻을 알아 감동할 수 있으리오. (세종 16년 4월)
_SLIDE_6_
문자 창제의 필요성(必要性)을 느낀 편찬사업
[세종대왕실록]
어리석은 백성이 알지 못할까 염려하여 그림을 붙였으나... 다만 백성들이 문자를 아지 못해 책을 나누어 주어도 남이 가르쳐 주지 않으면 어찌 그 뜻을 알아 감동할 수 있으리오. (세종 16년 4월)
▷ 당시 흐트러진 사회심리를 바로잡기 위해
`효행록` `소학` `삼각행실도` `집성소학` 등을 간행.
▷백성들의 생활고를 덜어줄 산업 계통의 책으로
`농사직설` `향약구급방`
`농서` 등을 출판.
▶한자를 모르는
일반 백성들도 읽을 수 있는
쉬운 문자의 필요성(必要性) 제기
_SLIDE_7_
문자 창제의 필요성(必要性)을 느낀 편찬사업…(투비컨티뉴드 )






세종대왕과 한글창제,훈민정음 창제 과정,훈민정음 반포 과정,문자 창제의 필요성,집현전 직제정비 , 세종대왕과 한글창제,훈민정음 창제 과정,훈민정음 반포 과정,문자 창제의 필요성,집현전 직제정비법학행정레포트 , 세종대왕과 한글창제 훈민정음 창제 과정 훈민정음 반포 과정 문자 창제의 필요성 집현전 직제정비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