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ce.kr [자연과학] [實驗보고서] 인장시험[tension test] > price8 | price.kr report

[자연과학] [實驗보고서] 인장시험[tension test] > price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rice8

[자연과학] [實驗보고서] 인장시험[tension tes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29 15:20

본문




Download : [자연과학] [실험보고서] 인장시험[tension test].hwp




탄성한도를 지나 계속 하중을 가해 주면 시험편에는 소성변형이 생기면서 상항복점 C에 이르게 되고, 이 때 금속의 슬립으로 인하여 소성유동이 생겨 큰 내부전위를 일으키게 되므로 하중의 증가 없이도 변형이 진행되어 하항복점 D에 도달한다. 이점을 비례한도점이라하며, 이 때의 응력을 비례한도라고 한다. 하중을 계속해서 증가시키면 탄성한도점 B에 도달한다. 이러한 현상을 변형경화라고 부른다. 탄성한도 이내에서는 하중을 제거하면 변형량은 0으로 되어 원상으로 복귀한다. 이범위 내에서는 Hooke의 법칙, 의 관계가 성립한다. 하항복점 D를 지나 소성변형을 진행시키려면 하중을 증가시켜야 한다.
인장시험

1. test(실험) 목적
인장시험의 목적은 시험편의 인장하중-변형량 관계를 측정(測定) 하여 항복점, 인장강도, 탄성계수, 변형도, 단면감소율 등 기계적 성질을 알아보는 데 있따

2. 관련 theory(이론)
(1) 하중-변형랑 선도(응력-변형도 선도)
하중의 증가에 따라 초기에는 변형량이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이 관계식에서 σ는 응력(단위면적당에 작용하는 하중)이고 ,ε은 변형도(표점거리 변화량의 원표점거리에 대한 비 )이고, E는 종탄성계수이다. 최대응력점 G에 도달하면 변형상태의 균형이 파괴되어 국부수축이 생기고 변형의 증가와 더불어 하중은 감소하다가 시험편은 파단된다 국부수축된 부분을 파괴하는 데 필요한 하중은 국부수축이 생기기 전에 필요한 하중보다 작아도 좋도록 실제 단면이 감소되어 있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은 하중을 원단면적으로 나누어 응력을 구하고, 이 응력과 변형도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리면 그림 2와 같이 응력이 감…(省略)
순서
[자연과학]%20[실험보고서]%20인장시험[tension%20test]_hwp_01.gif [자연과학]%20[실험보고서]%20인장시험[tension%20test]_hwp_02.gif [자연과학]%20[실험보고서]%20인장시험[tension%20test]_hwp_03.gif [자연과학]%20[실험보고서]%20인장시험[tension%20test]_hwp_04.gif [자연과학]%20[실험보고서]%20인장시험[tension%20test]_hwp_05.gif [자연과학]%20[실험보고서]%20인장시험[tension%20test]_hwp_06.gif


[자연과학],[실험보고서],인장시험[tension,test],기계,실험결과

[자연과학] [實驗보고서] 인장시험[tension test]
[자연과학] [실험보고서] 인장시험[tension test] , [자연과학] [실험보고서] 인장시험[tension test]기계실험결과 , [자연과학] [실험보고서] 인장시험[tension test]

Download : [자연과학] [실험보고서] 인장시험[tension test].hwp( 71 )



설명


실험결과/기계







[자연과학] [實驗보고서] 인장시험[tension test]



다. 구간 AB에서는 하중과 변형량 관계는 직선적은 아니지만 여전히 탄성을 유지하며, 점 B에서는 응력을 탄성한도라 한다. 하중이 증가하여 최대하중점 G에 도달하게 되면 하중이 감소하면서 변형량이 증가하여 파단점 F에 이르게 된다
G점까지 소성변형이 생기는 사이에 단면적은 길이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되면서 전 길이를 통하여 균일하게 변형이 생긴다.
전체 19,66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rice.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