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특론A형]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의료이용행위(급성,만성질환자 각1인 사례(instance)적용)-사진첨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19 22:30본문
Download :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의료이용행위(급성,만성질환자 각1인 사례적용).hwp
현재 보건의료분야에서 비교적 널리 사용되고 있다.
Becker등이 체계화 시킨 건강신념모형은 건강관련 행동을 사회심리학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행위를 기초로 하여 건강행위의 이행형상을 설명해 주는 이론(理論)이 건강신념모형이라 할 수 있다.(사진첨부) [참고자료] 김영임 외, 건강증진 이론과 적용, 에피스테메, 2007 안옥희, 보건교육학, 메디컬코리아, 2009 황연자, 학교보건교육 및 간호, 현문사, 2002 김태임 외, 생활과 건강, 파워북, 2008 Joe D. Willis, 박종현 역, 운동건강심리학, 대한미디어, 2004
다. 상병행위는 이상이 있다고 느끼는 사람이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찾을 목적으로 취하는 행동이며 ,환자역할행위는 아픔을 경험하는 사람이 다시 건강해지려는 목적에서 의료기관의 처방과 지시를 취하는 행동이며, 건강행위란 건강하다고 믿고 있는 사람이 증상이나 증후가 없는 상태에서 질병을 예방하고 발견하고자 취하는 예방행위라고 정의(定義)된다된다.
Ⅳ.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의료이용행위 instance(사례)
Ⅱ. 건강신념모형(HBM, Health Belief Model, 1950)
Ⅲ.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의료이용행위
순서
Ⅰ. 서 론
2. Lewin의 장이론(理論)
김태임 외, 생활과 건강, 파워북, 2008
사람에 따라 이 인식된 세계는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건강행동은 개인의 주관적인 인식에 지배받아 각기 다른 행동으로 표출된다된다. 즉 인식이 의사결정에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 민감성이나 심각성에 대한 지각으로 행위를 유발할 수 있는 힘은 있지만, 항상 정해진 행위를 유발하지는 않는다.
cobb은 건강과 관련된 행위를 건강행위, 상병행위, 환자역할행위로 구분한 바 있다.
[참고data(자료)]
Joe D. Willis, 박종현 역, 운동건강심리학, 대한미디어, 2004
의료이용행위, HBM, Lewin장이론, Lewin, 장이론, 간호학특론, 건강신념모형, 건강신념모형사례,
안옥희, 보건교육학, 메디컬코리아, 2009
Ⅰ. 서 론
급성질환자와 만성질환자 각각 1인씩을 사례(instance)로 선정하고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의료이용행위에 대해 논하였습니다. 행위는 특정한 행위가 지각된 위협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신념, 다시 말하자면 행위의 혜택에 대한 지각에 따라 달라진다.
3. 환자역할 행위(Sick-role behavior)
2. 만성질환자 instance(사례)적용 : 만성위염 최덕명 씨(인구사회적 속성 - 35세, 남, 회사원)
3. 지각된 유익성은 특정행위를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혜택과 이익에 대한 지각이다. 따라서 충분히 위협을 느낀 사람이라도 그 행위가 할 만하다고 effect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으면 수행하지 않는다.
4. 건강신념모형의 중요한 요소
-2261_01_.gif)
-2261_02_.gif)
-2261_03_.gif)
-2261_04_.gif)
-2261_05_.gif)
Ⅴ. 결 론
3. 건강신념모형의 구성 槪念
설명
2. 지각된 심각성은 질병에 걸렸을 경우나 치료를 하지 않았을 때 어느 정도 심각하게 될 것인가에 대한 지각으로, 죽음, 불구, 통증 등과 같은 의학적 결과나 직장, 가족생활, 사회적인 관계에 미치는 effect(영향) 과 같은 사회적 결과를 포함한다.(사진첨부)
6. 5가지 주요槪念
2. 질환행위(Illness behavior)
김영임 외, 건강증진 theory(이론)과 적용, 에피스테메, 2007
1. 건강신념모형의 개요
1. 예방적 건강행위(Preventive health behavior)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5. 특징
Download :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의료이용행위(급성,만성질환자 각1인 사례적용).hwp( 52 )
[참고 문헌]
[간호학특론A형]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의료이용행위(급성,만성질환자 각1인 사례(instance)적용)-사진첨부
1. 지각된 민감성은 어떤 건강상태가 될 것이라는 가능성에 대한 주관적인 생각이다 질병의 경우에는 진단받을 가능성, 재감염의 가능성, 질병에 걸릴 가능성 등에 대한 지각을 일컫는다. 많은 연구자들은 지각된 민감성과 지각된 심각성을 합하여 지각된 위협으로 평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정의(定義)에서 건강행위 안에는 지금보다 다시 건강하고자 취하는 증진적 행위가 예방적 행위 안에 묶여 건강축과 질병축의 槪念이 혼재함은 아쉽다. 질병의 예방행위를 예측할 수 있으며 환자역할행위도 적용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1. 급성질환자 instance(사례)적용 : 급성위염 김종현 군(인구사회적 속성 - 19세, 남, 고등학생)
급성질환자와 만성질환자 각각 1인씩을 사례로 선정하고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의료이용행위에 대해 논하였습니다.
황연자, 학교보건교육 및 간호, 현문사, 2002
건강행위를 취하고 안하는 것은 물리적 환경보다도 건강과 관련된 객관적인 사실을 어떻게 보고 인식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인 건강신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