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층 건축물 - 구조, 형식, 事例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4-17 15:23
본문
Download : 초고층_건축물 - 구조, 형식, 사례.hwp
따라서 구조체가 인성을 발휘하여 구조 시스템으로 제어할수 있도록 세부설계가 될 때에 가장 이상적이다. , 초고층 건축물 - 구조, 형식, 사례공학기술레포트 , 초고층_건축물 - 구조 형식 사례
Download : 초고층_건축물 - 구조, 형식, 사례.hwp( 53 )
다.
2. 초고층 건축의 구조형식(Structural Type)
초고층 건물은 지진, 풍하중이 횡력에 대하여 어떻게 진동reaction response을 하며 횡력저항을 어느 정도 확보할 것인가에 대하여 최적의 설계가 필요하다.
구조체 형식과 높이와의 관계
- 횡하중으로 인한 강재량 증가를 최소화하는 건물의 형태와 층수로 발전
? 30층 이하 : 라멘구조, 내진벽 구…(省略)
초고층_건축물,-,구조,형식,사례,공학기술,레포트
초고층 건축물 - 구조, 형식, 事例
초고층_건축물 - 구조, 형식, 사례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풍하중에 의한 동적 성능 응답을 기준으로 건물 전체가 탄성적으로 흔들림으로써 외력분산을 한다.설명
레포트/공학기술
순서
초고층_건축물 - 구조, 형식, 事例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1. 초고층 건축물의 정의(定義)
사람들이 초고층 건축물을 선호하는 이유는 고층 건축물이 세워진 나라들을 예로 초고층 건축물은 곧 그 나라의 경제발전, 시공기술입증, 통치자의 업적 중 하나가 될 수 있고 culture, 해외관광 유입의 effect의 토대가 되기 때문일것이다
초고층 건물이란, 그 층수 또는 높이에 따라 정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으며 관점에 따라 상대적으로 정의(定義)되고 있다아
유럽의 경우에는 12층 이상의 건물, 日本 은 지상에서 20층 이상 또는 건축법에 근거하여 높이가 60m를 초과하는 건물을 초고층이라 하며, 시카고 같은 경우에는 70층에서 100층 정도를 지칭하고 있다아
미국의 경우에는 분리기준을 일반적으로 건물의 층수나 높이에 두지 않고 다음의 세 가지를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첫째, 건물의 용적률이 그 지역의 平均(평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고,
둘째, 수직교통을 위한 기계설비가 사용되며,
셋째, 일상적인 저층 건물에서 사용되는 것과는 다른 공법 및 기술이 요구되는 건물
을 지칭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명확한 정의(定義)가 되어있지 않고, 내진 설계에 의한 구조안전 확인 대상물인 21층 이상 건물을 초고층 기준으로 볼 수가 있겠으나 통상 30층 이상, 높이 100미터 이상의 고층 건물이 초고층으로 간주되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