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청산별곡 - 작자와 창작시기 주제와 관한 논의 어구 해석 구조 분석 국문학사적 의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6 03:12
본문
Download : 청산별곡 - 작자와 창작시기 주제와.hwp
정병욱은 <청산별곡>에서 나타나는 논리적 일관성, 고도의 상징성, 창조성, 깊은 철학과 삶의 대한 추구들을 근거로 들어 작품을 한림별곡의 작자들에 못지 않는 지식층이라 주장하였다다.
청산별곡 - 작자와 창작시기 주제와 관한 논의 어구 해석 구조 분석 국문학사적 의의
2. 본론
이라고 추정하였다. 그밖에 작자와 향유계층의 이념과 사상, history적 성격면에서도 이들은 서로 판이하다. <악장가사>와 ,<악학편고>에 전문이 실려 있고, <시용향악보>에는 제 1연이 곡조와 함께 실려 전하는데, 노래의 가사와 곡조의 일부만이 전할 뿐 작품의 실체를 규명할 만한 문헌적 증거가 거의 없어 초기의 어구 해석 연구에서부터 다양한 관점에 바탕을 둔 내용 연구에 이르기까지 많은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를 바탕으로 여전히 논란이 거듭되고 있따 또한 <청산별곡>에는 다른 작품에서는 보기 힘든 난해한 어구도 많아 학자들 나름의 관점에서 어구를 해석하고 있고, 이에 따라 창작 시기나 작자층, 작품의 구조와 성격에 대한 논의는 매우 다양하다. 정상생활을 하지 못하는 화자의 외로움이나 괴로움이 나타나 있고, 사람과의 왕래도 없이 떠돌아다니는 화자의 심정을 이야기하는 서정시 신동욱, 「청산별곡과 평민적 삶의식」,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92.
② 삶의 터전을 잃은 유민
2.1. 작자와 창작시기
① 신분을 감춘 귀족계급
.
고려가요는 속요 계통의 노래와 경기체가 계통의 노래로 크게 구분된다된다.
박노준은 결구의 방식, 고도의 우의성 ․ 상징성, 깊은 철학, 시적 긴밀함 등은 평민들도 마음대로 구사할 수 있었으며, 그 예가 <만전춘별사>나 <동동>과 같은 작품이라고 하였다. 이승명은 <청산별곡>의 결구방식이나 고도의 상징성과 우의성 등으로 미루어 볼 때 본 노래의 작자는 무식한 상인이나 서민은 아니고 상당한 학식을 가진 귀족 계급의 사람이라고 하였다.
청산별곡 - 작자와 창작시기 주제와 관한 논의 어구 해석 구조 분석 국문학사적 의의
1) 청산별곡의 작자
청산별곡 - 작자와 창작시기 주제와 관한 논의 어구 해석 구조 분석 국문학사적 의의 청산별곡 - 작자와 창작시기 주제와 관한 논의 어구 해석 구조 분석 국문학사적 의의
청산별곡 - 작자와 창작시기 주제와 관한 논의 어구 해석 구조 分析 국문학사적 의의
.





청산별곡 - 작자와 창작시기 주제와 관한 논의 어구 해석 구조 분석 국문학사적 의의
Download : 청산별곡 - 작자와 창작시기 주제와.hwp( 18 )
설명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신동욱은 <청산별곡>의 작자를 ‘농토를 잃고 현실 세계를 떠나야만 하는 불행한 농민’으로 보았다.
로 보고 있따
순서
다. 그는 <청산별곡>의 작자가 ‘전란의 상태 속에서 난리를 피하며 목숨을 이어가던 피난민’이며, 피난
.
청산별곡 - 작자와 창작시기 주제와 관한 논의 어구 해석 구조 분석 국문학사적 의의
고려속요는 평민층에서 향유되던 민요적 시가로서, 평민들의 생활 감정이나 진솔한 사랑을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고려문학의 진수라 할 만하다. 귀족 계급의 작자였더라도 정치적 이유로 실의 낙혼했거나 현직에 있으면서도 신분을 감추기 위해 속요의 형식을 빌렸는지 모른다고 하여, 작자는 귀족 계급의 지식층 이승명, 「청산별곡에 대하여」, 고려시대의 언어와 문학, 형설출판사, 1975.
우리들도 교과서나 문제집에서 자주 보아 익숙한 청산별곡은 문학성이 뛰어나 고려속요 중에서도 백미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작자에 대한 언급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속요 계통의 노래들이 언어의 운율미를 잘 살리고 있는 서정가요라면, 경기체가 계통의 노래는 교술적인 성격이 두드러진 노래라는 점에서 서로 구분된다된다.
따라서, 본 발제에서는 작자나 창작시기에 따른 논의와 그에 따른 해석상의 난해점에 대상으로하여 살펴보고, 나아가 <청산별곡>이 가지는 구조에 대한 논의와 <청산별곡>이 가지는 국문학사적 의의 등에 대상으로하여 다루어 보기로 하겠다.
<청산별곡> 작품의 해석에 관한 학자들의 입장은 매우 다양하지만 대체로 작품의 시대적 배경이 극도의 혼란기였다는 사실에는 대체로 공감하고 있으며 그에 근거한 작자의 추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형식상의 특징으로는 3음보를 기본 음보로 하고 대부분 분절식 연장체로 되어 있으며, 분절마다 여음이 있다는 특징이 있따 구전되어 전승되다가 한글창제 이후에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등에 정착되어 궁중음악으로서 향유되었다.